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68 vote 0 2016.08.01 (23:28:53)

     

    어린이는 별다른 내용이 없는 비디오를 수십 번 반복해서 돌려본다. 줄거리를 다 알고 있는데도 여전히 재미를 느낀다. 그래도 뇌가 반응하기 때문이다. 뻔히 아는 내용이라도 어린이의 뇌는 전혀 싫증내지 않는다.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는 새 뇌가 패턴을 포착하여 스스로 학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뇌 안에서 뉴런을 연결하여 새로운 경로를 개척하고 있기 때문이다. 깨달음도 이와 같다. 반드시 한 번은 천장을 뚫어야 한다. 


    고도의 집중상태에 들어가야 한다. 어린이는 저절로 그것이 되지만 어른은 의식적으로 도전해야 한다. 패턴을 깨닫고 관점을 바꾸어야 한다. 뇌가 물리적으로 반응하게 만들어야 한다. 경로를 개척하여 뉴런을 심어야 한다. [생각의 정석 126회]


    ###


    깨닫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차이는 뇌가 반응하는가에 있다. 물리적으로 반응해야 한다. 누구라도 첫 등교와, 첫 소풍과, 첫 입사와, 첫 운동회와, 첫 수학여행과, 첫 입대와, 첫 휴가와, 첫 사랑과, 첫 키스는 잘도 기억한다. 


    만나면 즐겁다. 즐겁기 때문에 기억한다. 뇌가 반응하기 때문에 기억한다. 가슴이 들뜨기 때문에 기억한다. 전율하기 때문에 기억한다. 두 번째부터 기억되지 않는다. 두 번째 등교와, 두 번째 소풍과, 두 번째 키스는 잘 기억되지 않는다. 


    그대가 깨닫지 못하는 것은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라 뇌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것을 첫 키스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진리와의 첫 만남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555.jpg


    천재는 아이큐가 아니라 반응력입니다. 민감한 자가 전율하고, 전율하는 자가 에너지를 얻고, 에너지를 얻은 자가 끝까지 가고, 끝까지 가는 자가 세상을 바꿉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8.02 (11:25:45)

[생각의 정석 126] 문안인사 필요없다!

http://gujoron.com/xe/70743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84
3657 돈을 찍어야 경제가 산다 image 6 김동렬 2015-01-11 6565
3656 논어 10, 충고하면 친구가 아니다 image 김동렬 2016-02-07 6566
3655 결정적인 한 방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03-24 6568
3654 서구철학은 죽었다 image 4 김동렬 2016-04-25 6575
3653 이상주의로 나아가라 image 6 김동렬 2015-02-27 6578
3652 한恨이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5-01-21 6580
3651 F1 머신의 운전자 image 3 김동렬 2015-03-02 6583
3650 의사결정원리 총정리 image 김동렬 2015-06-25 6584
3649 맨 처음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5-01-22 6591
3648 아리스토텔레스의 4 원인 1 김동렬 2018-08-29 6593
3647 마음의 문제 1 김동렬 2018-08-10 6596
3646 동적균형의 발견 김동렬 2014-08-10 6597
3645 구조론의 출발점 image 1 김동렬 2015-05-22 6599
3644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8-15 6601
3643 인간은 에너지를 원한다. 4 김동렬 2018-07-29 6611
3642 신과의 대화란 무엇인가? image 10 김동렬 2016-04-18 6621
3641 존엄의 의미 image 3 김동렬 2014-12-11 6626
3640 반야심경 1분요약 image 5 김동렬 2014-11-19 6627
3639 미학은 일원론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7-06 6628
3638 양자적 관점 image 1 김동렬 2014-10-20 6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