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59 vote 0 2016.07.26 (13:35:58)

     

    흉노를 일으킨 묵돌의 아버지 선우 두만頭曼의 이름 Tumen은 투르크어로 1만인의 우두머리를 뜻하며, 또다른 호칭으로 탱리고도撐犁孤塗 선우로도 불리는데 몽골식으로는 텡그리 쿠투라도 부르며, 이는 하늘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두만강을 만주어로 Tumen Ula라고 하는데 만주어로 '10,000'을 의미하는 투먼tumen에서 유래되었다는 게 통설이다. 만주어와 흉노어 혹은 투르크어가 같다는 의미는 아니다. 어쨌든 의미는 1만이라는 뜻이다.


    두만강이 왜 1만강인지는 몰라도 두만강 상류 토문강의 토문도 어원은 같으니 투만이라 불리는 족장의 이름을 딴 것일 수도 있다.


    투먼=1만인의 우두머리 곧 만인장. 만인장이 다스리던 지역의 강>두만강. 이렇게 되었을 수 있다.


    문제는 Tumen이 선사자라는 의미가 있다는 말이다. 즉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는 거다. 이 기록은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 확인하기가 어렵다. 주로 환빠들이 하는 소리라서. 어쨌든 두만의 아들 묵돌(바야토르)이 아버지에 의해 좌현왕으로 임명되고 만인장이 되어 명적으로 부하를 이끌었다는 말이 있다.


    문제는 그 명적이 활을 먼저 쏘는 즉 명령신호용 화살이라는 거다. 대장이 특정 방향으로 명적을 쏘면 휘파람 소리를 내면서 천천히 날아가는데 모두가 보게 된다. 그 방향으로 일제히 쏴야 한다. 대장이 부하들에게 일제히 활을 쏠 방향을 찍어주는 것이다.


    고구려 시조 주몽(추모왕, 도모都慕라고도 한다.)이 구개음화를 고려하면 Tumen이었을 수 있다. 신찬성씨록의 도모都慕라는 이름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일본인이 쓰다보니 받침이 탈락한 거다. 즉 주몽이 동흉노의 좌현왕이나 우현왕이었을 수 있는 것이다.


    두만이나 묵돌이 실제 사람이름은 아니다. 징기스칸이나 옹칸처럼 부여된 칭호다. 두만은 만인장이라는 뜻이고 묵돌은 용사라는 뜻이다. Tumen이 만인장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궁수부대의 지휘자라는 뜻일 수 있다.


z.jpg


   고구려와 흉노(튀르크)는 거의 붙어 있다. 고구려가 원래는 두만강 유역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만강은 주몽강이라는 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97
2146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268
2145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05
2144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314
2143 하늘 만지기 1 필부 2008-08-20 5341
2142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3 6254
2141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37
2140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608
2139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865
2138 '신과 나' 정말 큰 깨달음인 것 같습니다 1 자유인 2008-10-06 4552
2137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599
2136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46
2135 조경란과 주이란 1 엘보우 2008-10-25 5341
2134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22
2133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038
2132 경제문제에 대해서는 한말씀도 안하시네요... 2 지구인 2008-11-18 4521
2131 구조론에 대한 질문 4 자유 2008-11-26 4077
2130 구조론에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1 일리 2008-11-28 4477
2129 묻습니다... 2 새벽이슬2 2008-12-09 4365
2128 만유척력에 관하여.. 1 노란고양이 2008-12-10 6024
2127 퇴계에 관한 글을 읽으며... image 1 푸른호수 2008-12-26 4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