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21 vote 0 2016.07.09 (18:51:12)

     

    먼저 그것의 배경을 보고, 다음 바로 그것을 보고, 다시 배경과 그것 사이에서의 움직임을 보고, 다음 그 움직임의 앞과 뒤를 살펴 방향성을 보고, 거기서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하나의 점, 곧 소실점을 봐야 한다. 그럴 때 완전하다.


    그 작은 한 점을 움직여서 돌아가는 판도 전체를 통제할 수 있으니, 잽싸게 기동하여 그 한 점을 장악하고, 꺼져가는 불씨를 옮겨붙이듯이 때로는 굳건히 막아서 지키고 때로는 살살 불어서 퍼뜨려야 한다.


    이미 벌어져 있는 일을 평론하고 심판하는 자가 되지는 말라. 마땅히 주인된 도리로 의도를 가지고 선제대응해야 하는 법이니, 그 작은 점을 장악하고, 지키고, 퍼뜨리는 자가 되라.


    인仁≫지智≫의義≫신信≫예禮로 가능하니 인仁이 불쏘시개가 되고, 지智가 불씨가 되니, 의義의 불꽃을 크게 일으켜, 신信으로 옮겨붙이면, 예禮로 퍼뜨려진다. 그리고 만날 사람이 만나게 된다.


    ◎ 인仁 - 보편주의
    ◎ 지智 - 평등주의
    ◎ 의義 - 민주주의
    ◎ 신信 - 자본주의
    ◎ 예禮 - 사회주의


    보편을 하면 평등문제가 생기고, 평등을 하면 민주문제가 생기고, 민주를 하면 자본문제가 생기고, 자본을 하면 사회문제가 생긴다. 우리가 선의를 가지고 달려들어 문제를 해결할수록 일은 더욱 꼬여서 골치가 아파지는 것이다.


    보수꼴통은 보편단계에서 불인을 행하여 평등문제를 방지한다. 무지를 행하여 민주문제를 막고, 불의를 행하여 자본문제를 막고, 불신을 행하여 사회문제를 차단하니 애초에 문제발생 여지를 막아버리는 수법이다.


    흑인과 백인의 거주지를 분리하여 충돌의 소지를 없애는 것과 같다. 일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러다가 문제해결능력이 약화되어 망한다. 문제를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머리를 쓸수록 일은 꼬이는 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의연하게 진도 나가야 한다. 무엇이 두렵다는 말인가? 적어도 문제해결능력을 얻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34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310
3575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7055
3574 풍성해야 진보다 1 김동렬 2018-07-21 7056
3573 성선설과 성악설 image 김동렬 2016-05-09 7060
3572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7 김동렬 2015-02-24 7069
3571 구조론 1분 설명 image 김동렬 2016-09-15 7084
3570 의사결정학의 의미 image 김동렬 2014-07-07 7098
3569 선택이냐 대응이냐 1 김동렬 2018-07-10 7111
3568 의사결정구조 100문 100답 image 2 김동렬 2016-09-08 7115
3567 깨달음의 과학 3 김동렬 2014-05-25 7117
3566 구조론 백문백답 image 김동렬 2016-09-07 7123
3565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7125
3564 간화선의 의미 6 김동렬 2018-07-20 7135
3563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4-29 7147
3562 의사결정학의 개요 image 9 김동렬 2014-05-27 7151
3561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5-05-18 7155
3560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7 김동렬 2015-07-16 7183
3559 고쳐쓴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1 7186
3558 자유 평등 박애 그리고 정의 image 2 김동렬 2014-12-17 7196
3557 천지창조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4-10-19 7204
3556 의사결정이론과 구조론 1 김동렬 2014-06-29 7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