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저는 점장이가 아니므로
이건 예언이 아니라 분석입니다.
보통 유권자들은 이런 경우
상황을 아슬아슬하게 만드는 쪽으로 움직입니다.
즉 이번 대선이 더 치열하고 흥미진진하게 전개될 쪽으로
배팅하는 심리가 있는 것입니다.
몽이 이기면 이번 대선 잼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몽이 수월하게 당선되리라고 여기겠죠.
당장에 선거열기가 죽습니다.
노가 이기면 다시 아슬아슬해집니다.
누가 이길지 알 수 없어 지겠지요.
이건 천기누설이므로 하면 안되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현재스코어로 볼 때
객관적으로 몽의 파괴력이 두드러집니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경상도 창 지지자 일부가 몽쪽으로 돌아선다는 겁니다.
이건 적의 표를 뺏어오는 것이므로
5프로만 움직여도 10프로 이상 차이로 벌어집니다.
그래서 몽의 파괴력이 있는거죠.
반면 노가 되면
경상도 회창표는 더욱 결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노에게 불리합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단일화게임에서는 노가 승리합니다.
이건 예언이 아니라
그런 방향으로 작동하는 힘이 존재한다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물론 뚜껑은 열어봐야 아는 거지만.
여론조사로 한다는데
사실 여론조사는 믿을 수 없는 겁니다.
조사방법에 따라 5프로 이상 오차가 발생한다고 봅니다.
어제 문화일보 조사와 오늘 한겨레 조사가 하늘과 땅 차이인데
이거 믿을 수 있습니까?
하여간 여론조사가 공정하게 진행된다면 노가 유리합니다.
즉 몽 지지자 일부는 사실상 창 지지자입니다.
이들이 창과 몽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데
3자대결이 되어 창, 노, 몽 중 하나를 고르라면 몽을 고르는데
양자대결이 되어 창 대 노+몽의 둘 중 하나를 고르라면
창을 고릅니다.
그런데 어떤 형태로든 노와 몽은 이미 결합되었어요.
본드로 붙여버린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 입장에서 볼 때 이번 여론조사는
창 대 노+몽입니다.
이 경우 창 지지자가 노를 역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몽을 버리고 다시 창으로 돌아서는 것입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창 지지자가 노를 역선택하기 때문에 몽이 깨지는 것이 아니라
창지지자가 동시에 몽지지자이기도 한데
이들이 몽창 사이에서 헛갈리다가
노+몽의 결합을 보고는 창으로 되돌아간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몽의 표 중 일부는 왔다갔다 하는 창의 지지표이므로
가짜 표라는 것입니다.
즉 경상도 몽표 일부는 사실 허수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가짜들이 창으로 되돌아가므로서
노의 승리가 되는 것입니다.
근데 이런 이야기를 노무현 홈페이지에 하면 이적행위라고 욕 먹을라나?
하여간 경상도 몽지지표 일부는 동시에 창 지지표라서
양다리 걸치다가 고랑때를 먹는데(고랑때는 골탕의 방언)
선거심리학상 여론조사로는 몽이 지게 되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6
6161 벌거숭이 임금님 1 김동렬 2023-01-08 2200
6160 인간의 문제 김동렬 2023-01-07 2360
6159 유시민 김어준 쌍두마차 김동렬 2023-01-07 2377
6158 인문학의 맹점 1 김동렬 2023-01-05 2556
6157 동적 세계관 김동렬 2023-01-05 2086
6156 사건의 수학 김동렬 2023-01-04 1972
6155 유시민의 대권도전 1 김동렬 2023-01-03 3497
6154 생각의 방법 김동렬 2023-01-02 2131
6153 수학과 구조론 김동렬 2023-01-02 2045
6152 인간의 실패 김동렬 2023-01-01 2476
6151 사건의 탄생 김동렬 2022-12-31 2197
6150 작은수의 법칙 김동렬 2022-12-29 2672
6149 사건의 수학 구조론 김동렬 2022-12-28 2438
6148 한국인에게 주어진 역할 1 김동렬 2022-12-27 3107
6147 변화의 세계관 김동렬 2022-12-27 2262
6146 동양의 직관과 서양의 직관 김동렬 2022-12-27 2340
6145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462
6144 초이성의 부름 김동렬 2022-12-25 2373
6143 이성이냐 본능이냐. 김동렬 2022-12-25 2307
6142 선비가 본 기독교 image 1 김동렬 2022-12-25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