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343 vote 0 2016.06.13 (18:16:05)

     

    일할 줄 알면 일이 즐겁고 일할 줄 모르면 일이 괴苦롭다. 고苦를 피하려고 하는 사람은 고苦에 중독된 사람이니 또 다른 고苦에 빠져든다. 수행한다며 자기를 괴롭힌다. 부모에게 학대받은 사람이 폭력을 대물림하는 것과 같다. 락樂에 매혹된 사람이 또 다른 락樂을 복제한다. 매혹되어야 진짜입니다. [생각의 정석 116회]


    고苦는 나의 밖에서 오고 락樂은 나의 안에서 온다. 쓴 약은 내 입 속에 있어도 뇌의 바깥에 있다. 의사결정구조의 바깥에 있다. 만남의 즐거움은 두 사람 사이에 있어도 내 안에 있다. 내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내 발가락이 아파도 그것은 내 바깥에서의 소식이고, 한국팀이 브라질에서 이겨도 그것은 내 안에서의 소식이다.'



aDSC01523.JPG


    락은 원인이고 고는 결과입니다. 락의 즐거움은 일의 다음 단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고의 고통은 그 다음 단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인간은 일이 진행되는 것을 원하고 막히는 것을 싫어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음 단계의 계획을 가진 자에게는 락이 있을 뿐 고가 없습니다. 이상주의가 있어야 삽니다.


[레벨:2]법화

2016.06.13 (19:02:37)

우문에 대한 답변으로 읽습니다

자꾸 개념으로 정리하려는 습관이 문제야 하는 질책으로 들립니다

잘 이해했는지 모르지만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6.13 (19:28:04)

이 사이트에서 수준이하 거론하면 안 됩니다.

일단 한국말 안 되는 사람과는 대화하지 않습니다. 


최초에 뭐가 어쨌다고 말하면 시간을 절대고정 상수로 놓는 건데

도대체 누가 그런 절대권력을 그 사람에게 주었죠. 


처음부터 거짓말 딱 치고 들어가는 개새끼 아닙니까? 

거짓말 좌판 쫙 깔아놓고 호구들 끌어들이려는 새끼는 인간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처음이 없었으니 처음이라는 단어를 쓰면 벌써 개새끼입니다. 

진리를 논하는 곳에서 장난치고 구라치고 어물쩡 뭉개고 이러면 곤란합니다.


목숨 걸고 진리를 갈구하지 않는 자에게 눈꼽만큼도 보여드리지 않습니다.

어떤 사실을 논하기 앞서 우선적으로 언어가 되어야 합니다. 

[레벨:2]법화

2016.06.13 (19:34:58)

알겠습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6.14 (10:52:18)

[생각의 정석 116회] [핀리핀 특집] 핀리핀을 알려주마./ 안철수의 간당간당

http://gujoron.com/xe/68315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31
3621 표준모형의 대칭성 깨짐 image 1 김동렬 2013-06-15 9093
3620 5회의 의사결정 1 김동렬 2013-11-20 9087
3619 끽다거 김동렬* 2012-10-21 9083
3618 양자와 직관 image 2 김동렬 2013-06-11 9073
3617 그것이 그것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0-06 9070
3616 공자가 위대한 이유 1 김동렬 2018-07-14 9067
3615 구조로 본 블레이크와 볼트 김동렬* 2012-10-21 9064
3614 구조론의 제안 image 김동렬 2013-06-10 9060
3613 밖이냐 안이냐? image 3 김동렬 2013-07-04 9057
3612 돈과 마음은 유혹하지 못한다 5 김동렬 2014-05-12 9043
3611 창의하는 방법 2 김동렬 2014-01-27 9035
3610 세상을 만들어보자. 김동렬 2013-11-08 9031
3609 준비와 시작은 반대다 6 김동렬 2013-10-29 9027
3608 응답하라 세 가지 1 김동렬 2013-12-19 9021
3607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2 김동렬 2013-06-26 9018
3606 전여옥 유권자를 고소하다 김동렬 2004-09-24 9011
3605 자아와 의식 4 김동렬 2013-12-01 9010
3604 존재는 에너지 상태다. 1 김동렬 2013-10-17 9010
3603 스물네가지 문답 image 44 김동렬 2012-01-02 9009
3602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9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