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1. 한글은 글자를 세울 수 있지만(세움어),
영어는 나열만 해야합니다(나열어).

2. SVO(주동목)

1) 나한테 하는 행위
나는 잔다.
I sleep.

2)남한테 하는 행위
나는 그를 재웠다.
I make him sleep.

한국어는 어미를 활용합니다. 세움언어니깐요. 근데 영어는 이게 안됩니다. 나열언어거든요. 그래서 보어가 발달합니다. 하나의 행위(동사)를 두고 두번 만들기는 거시기 하잖아요.

언어의 기본중 하나는 활용할 때 그 원형이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는 겁니다. 원형 훼손되면 활용하고나서 뭔말인지 모르잖아요. 헷갈리는거죠. 따로 외우자니 헷갈리고 짜증나고. see saw seen 처럼 어쩔 수 없죠. saw처럼 예외가 등장하는 겁니다. 톱인지 see의 과거형인지는 맥락으로 판단해야하죠. 짜증나게 머리를 두 번 써야 합니다.


반면 한국어는 '재우다'처럼 사역형을 써도 원형 훼손이 없습니다. '자+이우다'입니다. '자다'는 '자-+다'고요. 활용해도 '자'는 그대로죠. 안 헷갈립니다.

근데 자동사란 무엇일까요?
자동사는 없습니다. 모든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 모든 언어는 SVO가 기본형입니다. 예외는 없습니다. 논리의 기본형이기 때문입니다.

근데 자동사는 SV만으로 되죠. 그럼 O는 어디갔냐? 주어 자신이라 생략된겁니다.

I sleep (me).
타동사를 만드려니 구분해야합니다. 한글처럼 세울 수 없으니 덧붙이죠. make를 붙여봅니다.

I make sleep you. 근데 SVO 3단법의 관점으로 보면 헷갈립니다. 그래서 sleep이 뒤로 갑니다.

I make you만으로 기본 개념은 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보조어가 붙죠. "+ sleep"입니다.

그래서 I make you sleep처럼 되는 거.

모든 영어의 문법은 이것의 확장입니다. 영어에서 동사와 관련된 수식을 할 때는 그냥 목적어 뒤로 보내버립니다. 그래야 형식이 완성되니깐요.

결국 영어를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근본적으로 SVO를 기본형식으로 정하고 시작하면 졸라리 쉬워집니다. 이걸 벗어나는 게 없거든요. 무조건 이것만 생각하게 하는 겁니다. 그리고 줄줄이 꼬리를 물고 엮어나가게 하는 거죠.


5형식은 안녕.


프로필 이미지 [레벨:2]동사샘

2016.06.15 (15:38:27)

개별단어 하나씩으로 문장요소를 설명하는

영문법으로 아이들이 나중에 문법을 많이 힘들어 합니다.

주어 I

동사 make

목적어 you

다른 방법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992 서경대학교? 까뮈 2013-04-13 3034
2991 사람들은 왜 80년대를 추억하지 않을까? 7 까뮈 2015-01-18 3033
2990 유시민 + 아는 얼굴 image 8 곱슬이 2011-11-10 3033
2989 자본주의 4.0?? 1 RI.JAE 2011-10-14 3033
2988 구조론과 아토피 질문^^ 1 기똥찬 2011-05-25 3033
2987 안녕하세요! 1 강아지눈 2008-11-10 3033
2986 7월 충남보령 구조론모임 공지 (무창포 비체팰리스) 5 이산 2016-06-20 3032
2985 <스마트 폰과 마음 - 인간연구> 아란도 2013-10-04 3032
2984 선거전 예상과 결과. 1 육각수 2010-06-03 3031
2983 우리는 가르치지 않는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6-02 3031
» 언어의 원형(한글과 영어의 원초적인 차이점) 1 챠우 2016-06-13 3029
2981 무한 동력 - 가능한건가요? 7 무득 2015-03-10 3030
2980 김동렬님...혹 이런 책은 꼭 읽어 봤으면 하는게 있는 지요? 2 까뮈 2012-05-29 3030
2979 강용석 쟤는 2 다원이 2012-02-05 3030
2978 이전 게시판입니다. 김동렬 2020-05-31 3029
2977 신의 증명과 불완전성 정리, 러셀의 역설 챠우 2018-06-21 3029
2976 이 영상은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3 까뮈 2014-06-20 3029
2975 그는 아직까지 당신의 대답을 기다리고 있다. image 1 15門 2014-01-20 3029
2974 계백 이야기는 어디까지가 진실인지.... 2 이상우 2011-11-22 3029
2973 무상급식 투표율...ㅠ 6 다원이 2011-08-22 3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