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79 vote 0 2016.06.10 (15:44:42)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구조론은 간단한 모형이다. 나는 모형을 말하는데 상대방은 거기에 대입된 내용을 말하니 대화가 겉돈다는 느낌. 구조론은 사건으로 보는 관점이며, 사건은 원인과 결과가 있고, 구조론은 원인측 기준으로 논하며, 보통 우리가 하는 말은 모두 결과측 기준이므로 허튼소리라 논할 가치가 없으며, 원인측을 말하려면 추상개념을 써야 하는데, 인류는 추상개념에 익숙하지 않다.


    원인측을 보려면 먼저 계를 설정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계라는 단어가 익숙하지 않으니까 궁수라고 하자. 인생은 날아가는 화살과 같으니 모든 것은 궁수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삶의 의미는 없으며, 보통은 과녁에 맞았는가 안맞았는가로 의미를 논하는데 다 개소리다. 그건 궁수가 정하는 거다. 그러므로 정답은 자신이 궁수가 되어 뭐라도 하나 쏘는 거다.


    인생의 의미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물음이 있다. 있다고도 말할 수 없고 없다고도 말할 수 없으며, 없지만 있고 있지만 없다고 말하면 더 헷갈릴 것이다. 2차원에 사는 사람에게 3차원을 말해봤자 대화는 불통. 인생의 의미는 분명히 있으나 당신에게는 없다. 화살의 의미는 궁수에게 있지 화살 자신에게 없다. 그러나 당신도 화살을 쏘아보내면 의미있다. 그런데 의미없다.


    의미는 있는데 일의 다음 단계에 있다. 어떤 꼬마가 백점을 맞았다고 자랑하지만 의미는 없다. 의미는 있다. 의미는 꼬마를 격려한 엄마에게 있고 꼬마를 가르친 선생에게 있다. 꼬마 자신에게는 없다. 꼬마는 알파고처럼 설정된대로 작동한 거다. 시험을 백점 맞아봤자 의미없는 거. 그렇다면? 꼬마가 시험을 출제하면 된다. 작용측에 서고 원인측에 서면 삶은 분명 의미있다.


    그 의미는 자신에게 돌아오지 않는다. 의미는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전달된다. 그러한 전달의 연결고리 안에 있는게 중요하다. 내가 행복하건 쾌락하건 성공하건 출세하건 유명하건 다 의미가 없다. 그건 다른 사람이 쏜 화살에 내가 반응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인생에 의미가 있다고 해도 곤란하고 없다고 해도 곤란하고 하여간 사람의 언어라는 것이 신통한게 아니다.


    내가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하면, 다른 사람을 성공하게 하면, 다른 사람을 출세하게 하면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그 다른 사람이 내게 보답하지 않는다. 보답해야 의미가 있다고 믿으면 인생은 의미가 없다. 노무현도 보답을 받지 못했다. 보답은 탄돌이들이 먹었다. 그러므로 의미는 있는 것이며 또 없는 것이며 하여간 헷갈리므로 한국어에 뭔가 너무 기대하면 안 된다.


   aDSC01523.JPG


    의미를 반대로 알아들을 것 같아서 맞는 말을 해도 맞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매커니즘을 보는 눈을 얻으면 한 방에 다 풀리고 그 눈을 얻지 못하면 백날 이야기해봤자 허무할 뿐입니다. 


[레벨:2]법화

2016.06.10 (16:03:27)

그렇습니다 의미를 반대로 알아듣고 있습니다

메커니즘을 보는 눈이 아직 머리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질문에 대한 개념정리는 되었습니다

돈과 목숨을 아끼지 말라는 말로 정리해 봅니다

올린 글들은 하나 하나 귀한 말씀 잘 들립니다

메커니즘은 실천을 통해 온 몸으로 체득되리라 기대합니다

긴 답변 주섰는데 다시 정리하여 설명해 주니 머리가 상쾌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81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773
6895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207
6894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745
6893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823
6892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722
6891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73
6890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87
6889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674
6888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311
6887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166
6886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418
6885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821
6884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702
6883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551
6882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427
6881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56
6880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63
6879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503
6878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90
6877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627
6876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