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56 vote 1 2016.06.03 (19:37:42)

     
    take와 득得의 어원이 같다고 봅니다.
    take는 '당긴다'>'챙긴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여기서 공간의 이동이 일어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take out이면 갖고 나가는 거죠.


    한자어 획득, 이득, 습득, 기득권 등의 득도 

    공간의 이동이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얻을 득이라고 하는데 

    당길득이라고 하면 어색하므로 '챙길 득'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우리말 얻다는 get에 가깝습니다. 

     get은 손가락으로 그러쥐다는 의미. 


    G가 W로 변하는 패턴이 있기 때문입니다.
    궁둥이가 엉덩이로 변하고 구멍이 우멍으로 변하여


    굼집(구멍집)이 움집이 되는 패턴.

    갖다와 얻다는 어원이 같습니다.  


    have는 합合친다는 뜻입니다. 꿴다는 뜻.
    한자어를 우리가 잘못 알고 있다는 거죠.


    천자문 쓴 석봉선생이 뭘 알겠습니까?

    한국사람이 한자어를 엉터리로 아는 데서 굉장히 많은 문제가 생깁니다.


[레벨:10]다원이

2016.06.03 (22:27:43)

혹시 구멍물 -> 우물. 이렇게 된게 아닐지요? 순간적으로 떠오른 생각.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6.03 (22:43:02)

#1 샘물 #3 ‘샘물은 돌틈 사이로 새어 솟아 나오는 물이요 우물은 움을 깊이 파서 거기에 고인 물이다.‘은 동사 새다의 명사형에서 온 것이요, ‘새다라는 명사에서 파생된 동사요, ‘사이의 줄어든 말이요, ‘사이는 옛말 () 에서 온 것이다. #4 샘물 - + + #7 #% #8 최창렬 (1993) 어원산책 $ 한신문화사


맞습니다.  

구멍의 옛말 굼>움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6.08 (10:29:37)

인간이 만든 복잡한 어휘를 개념적으로 극도의 추상화를 하면 남는 단어가 몇 개 남지 않는데,

이 때 남는 것들은 같다/다르다 > 합친다/ 분리한다 > 쌓는다(크다)/던다(작다) 등의 공간적 개념으로 활용/확대되어 대다수의 어휘를 이루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갰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955
1172 생각의 정석 132회 오세 2016-06-18 3466
1171 생각의 정석 131회 오세 2016-06-11 3389
1170 [제민] 역사라는 가장 극적인 한류 드라마 image ahmoo 2016-06-09 3778
1169 생각의 정석 130회 오세 2016-06-04 3392
1168 브라질 땅콩 효과 image 김동렬 2016-06-03 5818
» take와 득得 3 김동렬 2016-06-03 3656
1166 생각의 정석 129회 오세 2016-05-28 3245
1165 사피엔스? 김동렬 2016-05-25 3822
1164 생각의 정석 128회 오세 2016-05-21 3363
1163 언어가 문제다. 특히 독해력. 오세 2016-05-20 3598
1162 이말년의 예언 김동렬 2016-05-19 4927
1161 생각의정석 127회 오세 2016-05-15 3368
1160 탄허스님의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6-05-09 5331
1159 생각의 정석 126회 오세 2016-05-07 3336
1158 도보여행 할만한 코스 image 3 김동렬 2016-05-02 4153
1157 생각의 정석 125회 오세 2016-04-30 3672
1156 오자병법 대 손자병법 image 3 김동렬 2016-04-25 5803
1155 생각의 정석 124회 오세 2016-04-24 3601
1154 아랍어는 왜 거꾸로 쓸까? image 김동렬 2016-04-21 9620
1153 팟캐스트 2부, 김영호 당선자 image 2 김동렬 2016-04-21 3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