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22 vote 1 2016.05.30 (10:50:54)

     

    공자의 인의를 깨달은 자만이 노자의 무위를 실천할 수 있다. 바늘 없는 실은 꿰지 못하고, 실 없는 바늘은 가지 못한다. 바늘이 머리고 실은 꼬리다. 공자가 바늘이면 노자는 실이다. 실이 더 쓸모있어 보인다. 왜냐하면 당신은 하급실무자이기 때문이다. [생각의 정석 113회]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합리주의와 실용주의,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상대주의, 실용주의, 보수주의로 빠지는게 인간이다. 나이가 들수록 그러한 경향은 심해진다. 인간은 약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강해지려면 팀에 들어야 한다. 팀에 들 기회는 젊은이에게만 주어진다. 그러므로 젊은이는 보다 진보적이다. 공자와 노자 중에서 노자가 더 마음에 든다면 그것은 당신이 약해진 증거이다. 모두가 약자의 전략을 쓰면 세상이 망하는건 당연지사다. 중국은 그렇게 망했다. 그들은 2500년간 북방유목민에게 얻어터졌다.


    둘 다 필요하지만 둘을 분리해서 생각하면 곤란하다. 둘은 하나다. 하나로 보면 방향성이 포착된다. 핸들은 앞쪽에 있다. 절대주의, 합리주의, 진보주의는 핸들이 있고 상대주의, 실용주의, 보수주의는 핸들이 없다. 싸우면 진다. 핸들이 없으므로 이길 수 없다. 미국과 한국은 보수가 집권할 때마다 경제가 망했다. 일본 역시 보수가 착실히 말아먹고 있다. 역사의 큰 흐름으로 보면 언제나 진보가 승리한다. 단 제대로 된 진보라야 이긴다. 진보를 팔아먹기 위한 진보는 가짜다.


   aDSC01523.JPG


    공자든 노자든 내용을 보지 말고 문법을 봐야 합니다. 공자와 노자가 어떤 관점으로 보고 어떤 툴을 쓰는지가 중요합니다. 내용은 그 시대의 반영이니 그 시대에 그런 사람들이 그런 생각을 했다는 것 밖에 안 됩니다. 공자는 천하를 경영하는 왕의 관점에서 보고 노자는 세상에 살아남으려는 나의 관점에서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6.05.30 (13:14:47)

"공자는 천하를 경영하는 왕의 관점에서 보고 노자는 세상에 살아남으려는 나의 관점에서 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5.30 (14:26:06)

[생각의 정석 113회] 울트라 박근혜 리스크

http://gujoron.com/xe/67565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5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604
3584 스타워즈 이해하기 image 1 김동렬 2015-12-28 5981
3583 사랑의 정석 21회 김동렬 2015-12-29 4715
3582 복제능력은 언어감각에 있다. 2 김동렬 2015-12-30 4944
3581 사랑의 정석 22회 1 김동렬 2015-12-30 4640
3580 사랑의 정석 23회, 길한 점괘는? 1 김동렬 2015-12-31 4759
3579 깨달음은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image 김동렬 2015-12-31 4810
3578 사랑의 정석 24회, 철학이란? 1 김동렬 2016-01-01 4974
3577 사랑의 정석 25, 왜 사는가? 1 김동렬 2016-01-04 4695
3576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119
3575 사랑의 정석 26, 창의는 훔친다. 2 김동렬 2016-01-05 4986
3574 구조론 사전 계속 김동렬 2016-01-05 4777
3573 사랑의 정석 27, 강자의 자유 1 김동렬 2016-01-06 5039
3572 구조론 사전 1 김동렬 2016-01-06 4736
3571 사랑의 정석 28, 불행의 이유 1 김동렬 2016-01-07 4781
3570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116
3569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865
3568 공자와 소크라테스 3 김동렬 2016-01-08 5996
3567 깨달음은 돈오인가 증득인가? 7 김동렬 2016-01-09 5638
3566 공자와 노자 김동렬 2016-01-09 5376
3565 공자의 권위주의 대 노자의 무정부주의 image 1 김동렬 2016-01-10 5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