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6055 vote 0 2008.12.10 (10:58:48)

구존론을 공부하다가 한가지 여쭙니다..

우주압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밀어낸다...에서..

우주압력이 높은쪽의 반대쪽..
즉, 질량이 높은별(또는 우주압력이 낮은곳)에 다른 별들이 충돌하여..
질량들이 계속 더해질경우에 그 질량이 더해짐으로써 우주압력이 더 낮아진다고 봐도 무방한건지요..

그럼 그 척력의 크기도 계속 커짐으로써 평형상태에 도달하는게 더 어려워지는게 아닌지요...

김동렬

2008.12.10 (11:59:29)

표면과 이면이 있습니다.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말이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질량은 지극히 일부일 뿐입니다. 많은 부분이 가려져 있습니다. 그 나머지 가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물리학계에 의해 더 연구가 되어야겠지요.

예컨대 고속도로에서 자동차의 속도가 빨라지면 차간거리는 멀어지고 밀도는 낮아집니다. 그러나 총 에너지량이 감소한 것은 아닙니다. 운동에 의해 밀도가 낮아지지 않으면서도 밀도가 낮아지는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풍선에 펑크가 나면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그 부분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그러나 풍선내부 공기압의 방향성이 결정되면서 공기압 전체가 그 한 점에 집중됩니다. 엄청난 압력을 받게 되지요.

빽빽하게 들어찬 스치로폴과 널널하게 흩어진 돌은 어느쪽이 더 밀도가 높을까요? 이런 부분은 자연에서 매우 복잡하게 나타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811
2015 입자세계의 파동현상 image chow 2022-09-09 3748
2014 중간 점검 dksnow 2022-09-09 3136
2013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09-08 3095
2012 지성주의의 길 systema 2022-09-02 3694
2011 폭락전야 image dksnow 2022-08-31 4323
2010 여기자는 왜 그랬을까? dksnow 2022-08-28 4516
2009 자이로의 원리 image chow 2022-08-27 4015
2008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2-08-25 3940
2007 15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dksnow 2022-08-23 4231
2006 전기산업의 독특한 특성 2 mowl 2022-08-22 4140
2005 애덤 스미스와 존 내시의 게임이론 1 chow 2022-08-20 4283
2004 천국은 이 지상에 없다 (소극적 결론) dksnow 2022-08-18 4066
2003 맥락없는 인공지능 image chow 2022-08-15 4203
2002 2500년, 미분의 역사 chow 2022-08-15 4102
2001 0으로 나눌 수 없는 이유 image chow 2022-08-12 4395
200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5 오리 2022-08-11 4182
1999 나눗셈과 미분의 관계 image 2 chow 2022-08-09 4820
1998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4929
1997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229
1996 언어 바람21 2022-07-31 4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