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4365 vote 0 2008.12.09 (10:34:19)

구조론은 철학적 지식이 있어야 깨달을 수 있는 것인가요? 대학은 나왔지만 많이 부족해서요... 그러나 배우고 싶습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김동렬

2008.12.09 (10:50:23)

반갑습니다. 철학은 존재하지 않는 학문입니다. 철학을 가르치는 곳은 지구 어디에도 없습니다. 단지 철학사를 가르치는 곳이 있을 뿐. 그것은 과거의 죽은 철학입니다. 거기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몇몇 유명철학자들의 이름과 말투, 용어들 뿐.

다만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개념들이 철학적 사유의 기반이 없는 분들에게는 생소하고 어려울 수 있는데 구조론의 개념들은 국어사전과 상관없는 독립적인 논리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또한 본질에서는 상관이 없습니다.

어휘력이 뛰어난 분이라면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나 어휘력이 뛰어나지 못한데다가 철학적 사유의 기반조차 없다면 용어나 개념들이 난해하게 보일 수 있을 것입니다.
김동렬

2008.12.09 (10:58:00)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쓰려고 무진장 노력했으므로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그러나 사건을 그냥 사건으로 여기는 것과 사건=이벤트=주사위를 1회 던짐으로 이해하는 것은 근본이 다르지요. 사건은 그냥 사건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반복되는 사건 중에 1회입니다.

가역이라는 개념은 그냥 뒤집어진다는 건데 이건 쉽지만, 가역성=되먹임=피드백=출력측의 입력전환이 존재의 근본개념임을 알고, 컴퓨터 원리의 본질임을 알고, 엔트로피의 법칙임을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낱낱이 추궁하자면 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개념들은 막연히 나열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자기 포지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습니다. 즉 그 개념의 앞뒤에 오는 개념에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본뜻을 몰라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32
2007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02
2006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550
2005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48
2004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084
2003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09
2002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11
2001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551
2000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387
1999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58
199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46
1997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56
1996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395
1995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397
1994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402
1993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72
1992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849
1991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47
1990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899
1989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86
1988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