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4377 vote 0 2008.12.09 (10:34:19)

구조론은 철학적 지식이 있어야 깨달을 수 있는 것인가요? 대학은 나왔지만 많이 부족해서요... 그러나 배우고 싶습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김동렬

2008.12.09 (10:50:23)

반갑습니다. 철학은 존재하지 않는 학문입니다. 철학을 가르치는 곳은 지구 어디에도 없습니다. 단지 철학사를 가르치는 곳이 있을 뿐. 그것은 과거의 죽은 철학입니다. 거기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몇몇 유명철학자들의 이름과 말투, 용어들 뿐.

다만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개념들이 철학적 사유의 기반이 없는 분들에게는 생소하고 어려울 수 있는데 구조론의 개념들은 국어사전과 상관없는 독립적인 논리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또한 본질에서는 상관이 없습니다.

어휘력이 뛰어난 분이라면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나 어휘력이 뛰어나지 못한데다가 철학적 사유의 기반조차 없다면 용어나 개념들이 난해하게 보일 수 있을 것입니다.
김동렬

2008.12.09 (10:58:00)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쓰려고 무진장 노력했으므로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그러나 사건을 그냥 사건으로 여기는 것과 사건=이벤트=주사위를 1회 던짐으로 이해하는 것은 근본이 다르지요. 사건은 그냥 사건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반복되는 사건 중에 1회입니다.

가역이라는 개념은 그냥 뒤집어진다는 건데 이건 쉽지만, 가역성=되먹임=피드백=출력측의 입력전환이 존재의 근본개념임을 알고, 컴퓨터 원리의 본질임을 알고, 엔트로피의 법칙임을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낱낱이 추궁하자면 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개념들은 막연히 나열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자기 포지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습니다. 즉 그 개념의 앞뒤에 오는 개념에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본뜻을 몰라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71
53 적정기술의 허상 image 2 김동렬 2014-06-30 10389
52 왜 추상이어야 하는가? image 5 김동렬 2013-11-23 10409
51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34
50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39
49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0543
48 엑소더스의 진실 image 14 김동렬 2014-12-29 10628
47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662
46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38
45 김진태의 눈 image 2 김동렬 2014-12-06 10915
44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1015
43 한국 과학 교육의 교착 지점 3 눈내리는 마을 2009-02-06 11052
42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25
41 태양열을 이용한 스털링 엔진 image 1 김동렬 2013-04-03 11223
40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94
39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1542
38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1619
37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705
36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41
35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2169
34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