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read 2094 vote 0 2016.05.19 (01:02:16)

헬렌켈러가 세상을 인지하는 과정

헬렌켈러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보이질 않았기 때문에 일반인의 방식으로는 피아구분이 불가능했습니다.

일반인의 경우 동적개체와 정적개체 등을 보고 비교하는 하면서, 또 주위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분절의 개념과 합일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지만 그녀는 이게 불가능합니다. 그나마 촉각으로 일부 인지가 가능했지만 쉽지 않았죠.

원시부족의 경우 언어가 발달하지 않으면 추상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듯이 인간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대상의 이어짐과 끊어짐에 대한 감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물론 그 시작은 피아구분이죠.

결국 설리번 선생이 컵 안에 물을 담아서 만지게 해주고 cup과 water를 구분하는 걸 가르치려 했지만 쉽지 않았었습니다. 눈이 보이질 않으니 촉각만으로는 쉽게 어디까지가 물인지 컵인지 알기 어려웠던 거죠.

설리번은 할 수 없이 컵에 담기지 않은 물을 헬렌이 느끼도록 해줍니다. 이때 그녀에게 물을 끼얹은 일화는 유명합니다. 그 순간 헬렌은 물이 단독으로 존재하며 또 컵에 물이 담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죠. 그 순간 유레카!

설리반 선생을 만나기 전 어린 헬렌켈러는 [6세가 되도록 아무런 교육도 받지 못하고 손으로 음식을 먹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닥치는 대로 주위의 물건을 집어던지는 야수같은] 어린이였습니다. 소리를 지르고 발광하던 그녀는 (정신벽력이 아니라 소통하고자 했던 행위로 보임) 그것을 멈추고 세상과 소통하기 시작합니다.

이처럼 인간이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에게 너무나 당연한 추상화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무엇이 이어진건지 끊어진 건지를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최초의 다세포생물은 다른 세포를 잡아먹으며 그것을 소화시키지 않고 자신의 내부에 공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두개의 이질적인 세포들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신경세포를 탄생시키기도 하죠.

많은 과학자들이 인공지능이 지식의 체계를 쌓게하고 정보를 인지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그저 이미 분절된 개념만을 인공지능에게 입력했을 뿐이었죠. 그리고 대부분의 시도는 원론적으로 실패했고요.

이에 우리는 구조론에서 말하고 있는 추상화의 개념을 제안합니다. 이는 곧 세상의 체계를 인공지능이 인지하고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이 될 것이며 실제로 인간이 사용하고 또 세상이 이루어진 방법입니다.

- 상기 내용은 백공팔님과의 대화에서 많은 내용을 인용했습니다.

###

전문적인 지식은 필요없습니다. 늘 그렇듯이 진리에 관심만 있다면 참여 가능합니다. 당신이 궁금한 그 무엇이든 답변해줄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모임은 "가벼운 주제 토론+친목" 정도로 진행됩니다. 시간 확인하시고 참석 부탁드립니다.

장소 : 강남역 12번 출구 (모인 후 인원에 맞는 장소로 이동)
일시 : 매주 토요일 저녁 6시
연락 : 챠우(010 4586 3304), 백공팔(010 2022 6827)
카페 : 마이너스 연구소 http://cafe.daum.net/minusmind

[레벨:14]해안

2016.05.19 (02:24:28)

핼런 캘러가

태어날 때 부터 소경이었나요?

이건

저도 확인을해 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세내갈

2016.05.19 (08:00:34)

생후 19개월 후에 성홍열과 뇌막염에 걸려 위와 뇌에서의 급성 출혈이 있었다. 이 병은 오래가지 않았지만 그녀는 평생 시각 장애와 청각 장애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그녀는 가정 요리사의 6살 난 딸이자 그녀의 수화를 이해하는 아이인 마르타 워싱턴과 대화가 가능했었다. 헬런 켈러는 7살 때부터 집안에서 60개가 넘는 수화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했다. 소련의 시청각 장애 심리학자인 A. 메스체리코프에 의하면, 마르타와의 교제와 그녀의 가르침은 헬렌이 나중에 발전하는 데에 결정적인 요소였다고 한다. (나무위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5.19 (11:18:53)

지적 감사합니다. 제가 헷갈린 부분이 있었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812 2002년의 씨앗 그리고 2011년 싹트임 1 River 2011-10-27 2188
3811 오후 4시까지 지고 있었다는 말이 맞을 것 같소. 15 노매드 2011-10-27 3038
3810 지켜주고 싶다... 지켜내고 싶다... 4 aprilsnow 2011-10-27 2516
3809 명품수다 청취후기..(퍼옴) 2 폴라리스 2011-10-28 5132
3808 서울시장 선거 후기 꼬레아 2011-10-28 2952
3807 영화 quick 을 보니.. 6 카르마 2011-10-31 2687
3806 한국 茶시장과 보이차 그리고 茶시장의 미래에 대하여... 11 아란도 2011-10-31 6734
3805 진중권과 진보 25 일반이론 2011-10-31 5482
3804 진정한 맛이란..무엇일까요..? 4 카르마 2011-11-01 2703
3803 비비케이가 뭔소리냐고 누가 물으면. image 4 곱슬이 2011-11-01 3436
3802 펌글> 세계최초 엘이디 개발자에 대한 처우문제. 미국과 일본. image 2 곱슬이 2011-11-02 3450
3801 가카께서 절대 그러실 분이 아니라구 1 양을 쫓는 모험 2011-11-02 2561
3800 유대계 자본.. 6 카르마 2011-11-03 4064
3799 선거의 축이 바뀔까요?? 2 천왕성 편지 2011-11-03 2732
3798 중학교때 폭력을 잊지 못하는 뉴질랜드 총리 이상우 2011-11-07 3039
3797 손학규 코스프레 image 5 김동렬 2011-11-07 9167
3796 북팔에서 소통지능을 앱북으로 냈군요 image 4 ahmoo 2011-11-08 7305
3795 그리스, 이탈리아 위기의 원인. 8 aprilsnow 2011-11-09 3283
3794 백지연 끝장 토론 110분 [유시민편] 20 아란도 2011-11-10 6665
3793 유시민 + 아는 얼굴 image 8 곱슬이 2011-11-10 3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