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4087 vote 0 2008.11.26 (14:50:15)

아주 생소하면서도 아무리 보아도 빈틈이라곤 없어보이는 "구조론" 을 공부하려 합니다. 저는 마음이 깨끗한 편에 속하며 순수하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는 특별히 좋은것은 아니고요..

사랑하던 여인과도 이별하고....생각해 보니 이제 내가 갈 길은 정신세계 뿐이라고...그것만이 남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제가 선생의 구조론을 배울수 있을까요???

김동렬

2008.11.26 (15:04:55)

반갑습니다.
다는 몰라도 구조론의 한 귀퉁이는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구조론은 실천적인 학문이므로 실천분야로 임무를 좁히면 쉽습니다.
김동렬

2008.11.26 (15:11:17)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
만유에는 일정한 순서와 방향의 질서가 있다는 것.

세상은 온통 역설이라는 것, 그러므로 두번 생각해야 답이 보인다는 것.
세상은 딱딱한 알갱이의 집적이 아니라 무른 일이라는 것.

그러므로 최고의 것은 멈추어있지 않고 성장한다는 것.
모든 존재는 반드시 짝이 있다는 것. 그러므로 모든 것은 상대적이라는 것.

그 상대성 자체도 절대성의 전제라는 짝을 가진다는 것.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상대적이라는 것.

모든 문제는 정답이 있다는 것.(그것이 인간이 원하는 답은 아닐지라도)
구조는 난해하지만 실천에 있어서는 미학으로 단순화되어 나타나므로 쉽다는 것.

의미는 잇고 가치는 짝짓는다는 것.
정상에는 낳음이 있다는 것.

톱 포지션을 차지하고 계에 밀도를 걸어주면
원하는 대로 대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도 가치관이 바뀌고 세계관이 바뀌고
세상이 만만해질 것입니다.
김동렬

2008.11.26 (15:12:45)

온갖 편견과 고정관념과 진부함과 타성과 매너리즘을 깨고 신선한 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창조할 수 있다면. 그 포지션에서 세상을 바라본다면.
자유

2008.11.26 (16:49:09)

답변 감사합니다.

해 보겠습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88
2010 여기자는 왜 그랬을까? dksnow 2022-08-28 4482
2009 자이로의 원리 image chow 2022-08-27 3979
2008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2-08-25 3901
2007 15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dksnow 2022-08-23 4199
2006 전기산업의 독특한 특성 2 mowl 2022-08-22 4113
2005 애덤 스미스와 존 내시의 게임이론 1 chow 2022-08-20 4241
2004 천국은 이 지상에 없다 (소극적 결론) dksnow 2022-08-18 4036
2003 맥락없는 인공지능 image chow 2022-08-15 4166
2002 2500년, 미분의 역사 chow 2022-08-15 4065
2001 0으로 나눌 수 없는 이유 image chow 2022-08-12 4369
200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5 오리 2022-08-11 4148
1999 나눗셈과 미분의 관계 image 2 chow 2022-08-09 4783
1998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4888
1997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198
1996 언어 바람21 2022-07-31 4441
1995 Sheer 바람21 2022-07-31 4317
1994 나에게 보이지 않는 것이 있다 10 chow 2022-07-29 4850
199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7-28 4351
1992 SK의 멸망 테크 chow 2022-07-28 4241
1991 시대전환: 개발에서 관리의 시대로 (미시적 관점) image dksnow 2022-07-22 4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