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4099 vote 0 2008.11.26 (14:50:15)

아주 생소하면서도 아무리 보아도 빈틈이라곤 없어보이는 "구조론" 을 공부하려 합니다. 저는 마음이 깨끗한 편에 속하며 순수하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는 특별히 좋은것은 아니고요..

사랑하던 여인과도 이별하고....생각해 보니 이제 내가 갈 길은 정신세계 뿐이라고...그것만이 남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제가 선생의 구조론을 배울수 있을까요???

김동렬

2008.11.26 (15:04:55)

반갑습니다.
다는 몰라도 구조론의 한 귀퉁이는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구조론은 실천적인 학문이므로 실천분야로 임무를 좁히면 쉽습니다.
김동렬

2008.11.26 (15:11:17)

세상은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
만유에는 일정한 순서와 방향의 질서가 있다는 것.

세상은 온통 역설이라는 것, 그러므로 두번 생각해야 답이 보인다는 것.
세상은 딱딱한 알갱이의 집적이 아니라 무른 일이라는 것.

그러므로 최고의 것은 멈추어있지 않고 성장한다는 것.
모든 존재는 반드시 짝이 있다는 것. 그러므로 모든 것은 상대적이라는 것.

그 상대성 자체도 절대성의 전제라는 짝을 가진다는 것.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상대적이라는 것.

모든 문제는 정답이 있다는 것.(그것이 인간이 원하는 답은 아닐지라도)
구조는 난해하지만 실천에 있어서는 미학으로 단순화되어 나타나므로 쉽다는 것.

의미는 잇고 가치는 짝짓는다는 것.
정상에는 낳음이 있다는 것.

톱 포지션을 차지하고 계에 밀도를 걸어주면
원하는 대로 대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도 가치관이 바뀌고 세계관이 바뀌고
세상이 만만해질 것입니다.
김동렬

2008.11.26 (15:12:45)

온갖 편견과 고정관념과 진부함과 타성과 매너리즘을 깨고 신선한 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창조할 수 있다면. 그 포지션에서 세상을 바라본다면.
자유

2008.11.26 (16:49:09)

답변 감사합니다.

해 보겠습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60
53 적정기술의 허상 image 2 김동렬 2014-06-30 10389
52 왜 추상이어야 하는가? image 5 김동렬 2013-11-23 10409
51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34
50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38
49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0543
48 엑소더스의 진실 image 14 김동렬 2014-12-29 10627
47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662
46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38
45 김진태의 눈 image 2 김동렬 2014-12-06 10915
44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1015
43 한국 과학 교육의 교착 지점 3 눈내리는 마을 2009-02-06 11052
42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25
41 태양열을 이용한 스털링 엔진 image 1 김동렬 2013-04-03 11223
40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93
39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1542
38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1619
37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705
36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40
35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2169
34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