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635 vote 0 2016.05.16 (22:27:10)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는 식의 유아틱한 자기소개는 철학이 아니다. 나를 지우고 대신 그 자리에 천하를 놓아야 한다. 내 개인의 생각을 발표하지 말고 대신 천하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말해야 한다. 천하의 마음을 대변하는 대표자가 되어야 한다. 나를 배제함으로써 집단에 이르며, 집단을 배제함으로써 정상에 이르며, 거기서 비로소 신과의 일대일을 이룬다. 거기서 천하의 큰 일을 발견하고 기승전결로 그 일을 전개시켜 낸다. [생각의 정석 107회]


    언어는 동사+목적어+주어다. 변하는 것은 목적어다. 결혼을 목적으로 하다가 친구가 되기도 하고, 친구로 사귀려다가 결혼하게도 된다. 변하지 않는 것은 주어다. 그러나 그 주어도 변한다. 주어는 나다. 나는 변하지 않지만, 대신 크게 확장된다. 나의 가족, 나의 국가, 나의 세계로 점차 커진다.


    의사결정은 그렇게 커진 전체 단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일은 오늘에서 끝나지 않고 내일로 모레로 계속 이어져 가기 때문이다. 작은 ‘나’를 주어로 삼으면 아침저녁으로 변덕을 일으킨다. 화장실에 들어갈 때 생각이 다르고, 나올 때 생각이 다르다. 그것으로 의사결정을 하면 실패한다.



aDSC01523.JPG


    10년 후에 도착할 편지를 보낸다면 어떨까? 답신을 받는다면 20년 후다. 아침저녁으로 변하는 나를 그 편지의 주어로는 쓸 수 없다. 인생은 적어도 50년의 계획이다. 50년은 변하지 않는 나를 그 편지의 주어로 삼아야 한다. 소년은 열일곱에 친구와 헤어진다. 30년 후 다시 만날 때를 상상하며 그것을 등대의 불빛으로 삼아 인생의 항해를 하는 것이다.


[레벨:30]솔숲길

2016.05.17 (12:16:45)

[생각의 정석 108회] 안철수의 국민당

http://gujoron.com/xe/659404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960 깨달음 3 김동렬 2018-08-06 5646
2959 보편 평등 민주 자본 사회 김동렬 2016-07-07 5644
2958 바둑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6-05-02 5644
2957 구조론의 원점 김동렬 2016-06-17 5642
2956 구조론이 쉬운 이유는? image 7 김동렬 2015-04-28 5637
» 사랑 107, 변하지 않는 나 image 1 김동렬 2016-05-16 5635
2954 언어의 족보를 찾아라 1 김동렬 2016-07-15 5629
2953 공자 끝, 말을 알아야 사람을 안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628
2952 논어 8, 어진 사람만이 미워한다 image 김동렬 2016-02-04 5628
2951 정유재란의 주범 노자 image 3 김동렬 2016-06-03 5625
2950 존재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8-08-27 5610
2949 에너지에서 존재로 image 김동렬 2015-06-03 5609
2948 구조와 시스템 image 김동렬 2015-03-12 5607
2947 노자가 중국을 죽였다 image 김동렬 2016-06-01 5605
2946 니체 쇼펜하우어 공자 image 김동렬 2016-03-24 5601
2945 공자와 노자 사상의 뿌리 image 김동렬 2016-02-25 5601
2944 모름지기 깨달을 일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8-27 5597
2943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5-18 5595
2942 고쳐 쓴 우주의 기원 image 김동렬 2015-09-08 5594
2941 공자 13, 나면서 아는 사람 image 김동렬 2016-02-10 5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