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read 6330 vote 0 2008.02.11 (19:36:08)

안녕하세요 선생님.

김동렬 선생님의 글을 탐하면서 요즘 많은 걸 깨닫고 있는 31살 남성입니다.
그동안 논리는 없고 울분.. 분노만 있어 졸렬한 언행을 해왔었는데..
요즘 선생님 덕분에 '깨달음'을 통한 기쁨을 한창 맛보고 있답니다.

이명박과 주가폭락의 상관관계...
주식에 투자했기 때문에 어쭙는건 아닙니다.
단지 주위사람들에게 이명박을 비판하기 위한 주장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은 드는데 적절한 논거가 없어서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여쭙니다

제 생각은 주가라는 것이 '기업에 대한 가치평가' 특히 미래가치 평가인데..
지금의 이명박, 인수위의 작태(성급함, 일관성 부재, 불확실성 등)가
외국인 투자가들에게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는건 아닌지요.

결국, 이명박의 당선이 주가폭락에 연관성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너무 지엽적인 질문이여서 쑥쓰럽지만,
참여정부의 치적을 통해서 그것을 부정하는 이명박은 아니다라고 말하여도
안먹히고... 먹고사니즘에 빠진 그들에게 이명박의 도덕성 문제를 제기해도
안먹히네요...
그래서 현상.. 지금의 현상을 두고 이명박이를 깔려고 하는 의도이니
간략하게 나마 말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서 여쭙고 싶습니다.하하
제가 광고 회사를 내려고 하는데,
선생님의 글 '미라이 공업의 경우'에 나오는 우리니라의 제로섬 시장환경속에서
저희 회사의 경영이념인 '좋은 기업생태계 조성-공생'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김동렬

2008.02.11 (21:52:52)

이명박 혼자서 주가를 폭락시킨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이 주가를 논하는 것은 경제를 모르는 이명박 때문에 경제가 붕괴되었을 때 그 책임을 묻기 위해 사전에 명토를 박아놓고, 근거를 만들어놓고, 증거를 확보해 놓자는 것입니다. 물론 이명박과 주가폭락은 연관성이 있지만 그 비율은 10프로 안밖이며 주가는 10프로 이상 대폭락 했기 때문에 이명박 혼자서 주가를 말아먹은 것은 아니지요. 중요한 것은 이명박이 경제에 문외한이라는 것입니다. 개발시대가 지나면 시스템이 바뀌고 금융이 중요해집니다. 이러한 선진국 패러다임에서 경제는 한 마디로 밸런스인데 이명박이 밸런스를 모르기 때문에 경제가 붕괴될 것이라는 경고지요. 지금은 어떤 주장도 처음보는 장난감을 손에 쥔 어린이와 같은 이명박 추종자에게 먹히지 않습니다. 다만 지금 명토를 박아놓아야 5년 후 확실히 마음을 돌려놓을 수 있지요.
김동렬

2008.02.11 (21:56:18)

경제는 자동차 길들이기와 같아서 처음은 살살가야 합니다. 이 단계는 교육과 인프라가 중요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과속하면 중국의 문화혁명과 같은 정치혼란에 빠져서 경제가 무너집니다. 후진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급인력의 대량유출, 민족자본의 해외이탈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길이 들어지면 과속을 해줘야 합니다. 이때는 지금의 중국과 같이 경제가 과속해야 길이납니다. 자동차가 1000키로를 넘었다면 오일을 갈아주고 170키로를 밟아줘야 합니다. 그리고 이 단계를 지나면 절대로 안정적인 밸런스를 추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경제발전 단계가 있어요. 한국이 어느 단계에 와 있느냐가 중요하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92 신급 떡밥 7 이금재. 2020-02-20 2255
4991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1층) image 2 오리 2020-02-20 1381
4990 스타링크 프로젝트 2 이금재. 2020-02-17 1575
4989 이상과 현실의 대립 image 1 이금재. 2020-02-14 2062
4988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1층) image 오리 2020-02-13 1364
4987 구조론 통역을 잘하려면? image 2 수피아 2020-02-09 1844
4986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1층) image 오리 2020-02-06 1342
4985 주관식 문제와 비지도학습의 새로운 의미 1 이금재. 2020-02-05 1823
4984 타밀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1 이금재. 2020-02-05 3162
4983 뇌와 AI 1 kilian 2020-02-03 1576
4982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1층) image 오리 2020-01-30 1362
4981 구조론에서 말하는 사물의 운동은 무엇입니까? image 2 이금재. 2020-01-28 2325
4980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1층) image 오리 2020-01-23 1370
4979 인공지능의 현재 image 1 챠우 2020-01-20 2315
4978 전투에서 진 것 같습니다. 9 회사원 2020-01-18 2504
4977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1층) image 오리 2020-01-16 1382
4976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image 3 오리 2020-01-09 1684
4975 관점의 한계에 부딪힌 AI 1 챠우 2020-01-08 1826
4974 초보들의 구조론 1 챠우 2020-01-07 1925
4973 좋은 기획을 하려면 챠우 2020-01-05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