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7211 vote 0 2008.01.26 (09:01:29)

있습니다. 구조론은 `부조리`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궁금합니다.답은 분명한데 내가 사는 꼬라지는 전혀 엉뚱한 데로 흘러갈 때 부조리를 떠올립니다.분명 이 길을 가면 나에게도, 너에게도, 그들에게도 유리한데 나는 엉뚱한 곳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아기가 말 뜻을 알아듣고 글도 읽을 줄 알게 될 쯤에 구조론을 이해시킨다면 그 아이는 절대 틀림없는 길만 갈까요? 절대 후회하지 않는 길, 엉뚱하지 않은 길을 틀림없이 갈까요? 너무 무리한 요구인가요? 신에게나 요구할 일인가요?

구조론은 무엇입니까? 삶의 설계도이고 그 다음은 설계도를 받아든 자의 몫인가요?

내일을 예측하지 않으면서도 우리는 반드시 가야할 길을 갈 수 있습니까? 오늘 열심히 걸으니까 내일 정확하게 그곳에 도착하는 것... 그렇습니까? 오늘은 절대 내일 일을 알지 못하지만 오늘의 완성된 삶이 내일의 정확한 목적지 도착을 담보합니까?

김동렬

2008.01.26 (09:08:51)

철학적인 질문인데 사유의 깊이가 없다면 어떤 답변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구조론은 수학처럼 그저 주어져 있을 뿐, 인간이 그 수학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수학이 인간을 돕기 위하여 개입하지는 않습니다. 수학의 가치는 수학이 없는 원시사회와의 인류학적 비교로만 이해되는 것, 우리는 수학의 가치를 깨닫지 못합니다. 오늘 1이 내일도 그냥 1로 있다는 것의 확실성의 가치를 이해 못하는 사람은 수학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지요. 원시부족은 오늘 1이 내일은 1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헛된 곳에 낭비합니다. 마찬가지로 구조론은 바른 길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고 그 바른 길에 대한 의심때문에 일어나는 무수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아줍니다. a11111a@한메일로 메일주시면 자세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78
328 아래 댓글이 넘 길어..... image 20 지여 2011-01-13 4632
327 마이너스의 성질 3 아란도 2011-01-11 3837
326 계산에서 진법으로.. 5 아제 2011-01-10 4044
325 순간 계산 궁금하오 17 지여 2011-01-10 4286
324 바깥뇌-사회적 상호작용 1 김동렬 2011-01-10 3979
323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image 7 꼬치가리 2011-01-10 6638
322 확률을 높이는 퍼즐링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500
321 노무현과 심형래 8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771
320 나쁘거나 죽거나. 2 아제 2011-01-07 3872
319 경제 바로 알기 3 지여 2011-01-05 4247
318 결혼의 구조 5 ░담 2011-01-05 4080
317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빨리 언다. 13 김동렬 2011-01-04 18971
316 신형 모닝 디자인 해부 image 6 김동렬 2011-01-04 4606
315 신년 덕담. 5 아제 2010-12-31 4470
314 이명박의 자전거가 골로 가는 이유 image 2 김동렬 2010-12-27 4913
313 리더 의 의사결정 1 지여 2010-12-26 4280
312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592
311 알아 차려야 하오 2 지여 2010-12-22 3820
310 장하준 교수를 만났소.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12-22 4324
309 권구조담- 부바키키 효과 발견, 어학 수학 한 줄에 꿰기. 2 ░담 2010-12-21 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