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7241 vote 0 2008.01.26 (09:01:29)

있습니다. 구조론은 `부조리`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궁금합니다.답은 분명한데 내가 사는 꼬라지는 전혀 엉뚱한 데로 흘러갈 때 부조리를 떠올립니다.분명 이 길을 가면 나에게도, 너에게도, 그들에게도 유리한데 나는 엉뚱한 곳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아기가 말 뜻을 알아듣고 글도 읽을 줄 알게 될 쯤에 구조론을 이해시킨다면 그 아이는 절대 틀림없는 길만 갈까요? 절대 후회하지 않는 길, 엉뚱하지 않은 길을 틀림없이 갈까요? 너무 무리한 요구인가요? 신에게나 요구할 일인가요?

구조론은 무엇입니까? 삶의 설계도이고 그 다음은 설계도를 받아든 자의 몫인가요?

내일을 예측하지 않으면서도 우리는 반드시 가야할 길을 갈 수 있습니까? 오늘 열심히 걸으니까 내일 정확하게 그곳에 도착하는 것... 그렇습니까? 오늘은 절대 내일 일을 알지 못하지만 오늘의 완성된 삶이 내일의 정확한 목적지 도착을 담보합니까?

김동렬

2008.01.26 (09:08:51)

철학적인 질문인데 사유의 깊이가 없다면 어떤 답변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구조론은 수학처럼 그저 주어져 있을 뿐, 인간이 그 수학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수학이 인간을 돕기 위하여 개입하지는 않습니다. 수학의 가치는 수학이 없는 원시사회와의 인류학적 비교로만 이해되는 것, 우리는 수학의 가치를 깨닫지 못합니다. 오늘 1이 내일도 그냥 1로 있다는 것의 확실성의 가치를 이해 못하는 사람은 수학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지요. 원시부족은 오늘 1이 내일은 1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헛된 곳에 낭비합니다. 마찬가지로 구조론은 바른 길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고 그 바른 길에 대한 의심때문에 일어나는 무수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아줍니다. a11111a@한메일로 메일주시면 자세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22
552 질문 - 숨은 전제를 찾아보세요. 8 김동렬 2013-02-09 5239
551 비분강개: 법륜의 노망에 답한다 15 오세 2013-02-09 6514
550 뭘 좀 아는 사람 3 오세 2013-02-09 3395
549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408
548 왜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2-07 5713
547 양직공도 신라사신 image 9 김동렬 2013-02-06 21890
546 의견을 구하오. image 52 김동렬 2013-02-03 9367
545 이외수 죽이거나 지우거나 담^ 2013-01-30 4094
544 질문 - 부조리란 무엇인가? image 11 김동렬 2013-01-28 6435
543 질문 - 마찰열에 의해 불이 붙는 이유는? 10 김동렬 2013-01-27 9718
542 질문 - 책상은 다리가 몇이오? image 12 김동렬 2013-01-23 5465
541 질문 혹은 부탁 10 김동렬 2013-01-22 4254
540 게시판 에러 때문에 이사감 20 김동렬 2013-01-22 3860
539 왜,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재앙인가? 2 이성광 2013-01-22 4212
538 어느 쪽이 더 튼튼할 것 같소? image 5 김동렬 2013-01-22 3781
537 돔지붕의 문제 image 8 김동렬 2013-01-21 6151
536 문제 - 돔 지붕의 딜레마 image 17 김동렬 2013-01-20 13520
535 석굴암의 실패 image 5 김동렬 2013-01-20 10364
534 일의 탄생 이성광 2013-01-20 3197
533 질문 - 의심과 믿음 image 21 김동렬 2013-01-16 6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