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read 7244 vote 0 2008.01.26 (09:01:29)

있습니다. 구조론은 `부조리`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궁금합니다.답은 분명한데 내가 사는 꼬라지는 전혀 엉뚱한 데로 흘러갈 때 부조리를 떠올립니다.분명 이 길을 가면 나에게도, 너에게도, 그들에게도 유리한데 나는 엉뚱한 곳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아기가 말 뜻을 알아듣고 글도 읽을 줄 알게 될 쯤에 구조론을 이해시킨다면 그 아이는 절대 틀림없는 길만 갈까요? 절대 후회하지 않는 길, 엉뚱하지 않은 길을 틀림없이 갈까요? 너무 무리한 요구인가요? 신에게나 요구할 일인가요?

구조론은 무엇입니까? 삶의 설계도이고 그 다음은 설계도를 받아든 자의 몫인가요?

내일을 예측하지 않으면서도 우리는 반드시 가야할 길을 갈 수 있습니까? 오늘 열심히 걸으니까 내일 정확하게 그곳에 도착하는 것... 그렇습니까? 오늘은 절대 내일 일을 알지 못하지만 오늘의 완성된 삶이 내일의 정확한 목적지 도착을 담보합니까?

김동렬

2008.01.26 (09:08:51)

철학적인 질문인데 사유의 깊이가 없다면 어떤 답변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구조론은 수학처럼 그저 주어져 있을 뿐, 인간이 그 수학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수학이 인간을 돕기 위하여 개입하지는 않습니다. 수학의 가치는 수학이 없는 원시사회와의 인류학적 비교로만 이해되는 것, 우리는 수학의 가치를 깨닫지 못합니다. 오늘 1이 내일도 그냥 1로 있다는 것의 확실성의 가치를 이해 못하는 사람은 수학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지요. 원시부족은 오늘 1이 내일은 1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헛된 곳에 낭비합니다. 마찬가지로 구조론은 바른 길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고 그 바른 길에 대한 의심때문에 일어나는 무수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아줍니다. a11111a@한메일로 메일주시면 자세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55
53 적정기술의 허상 image 2 김동렬 2014-06-30 10389
52 왜 추상이어야 하는가? image 5 김동렬 2013-11-23 10409
51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34
50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38
49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0542
48 엑소더스의 진실 image 14 김동렬 2014-12-29 10627
47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662
46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37
45 김진태의 눈 image 2 김동렬 2014-12-06 10915
44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1015
43 한국 과학 교육의 교착 지점 3 눈내리는 마을 2009-02-06 11051
42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25
41 태양열을 이용한 스털링 엔진 image 1 김동렬 2013-04-03 11223
40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93
39 키 큰 남자가 좋다? image 3 김동렬 2011-08-23 11541
38 언어 구조의 대강 image ░담 2010-05-19 11619
37 아라비아 숫자의 어원 image 2 김동렬 2014-06-17 11705
36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40
35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2169
34 이현세의 헛소리 비판 17 김동렬 2013-04-09 1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