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58 vote 0 2016.03.24 (10:54:20)

     

    인간은 행복이 아니라 존엄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다른 말로는 권세가 있다. 혼자 잘났다고 우쭐대면 권세이고, 집단의 중심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존엄이다. 존엄을 얻으면 자유와 사랑과 성취와 행복은 그냥 따라온다. 그러나 행복만을 추구하면 망가진다. 팀이 깨지고, 가족이 해체되고, 시합에 진다. 변화하는 환경 안에서 삶이 부자연스럽게 되기 때문이다. 세상은 변한다. 부단히 자신을 상승시켜 가야 한다. [생각의 정석 81회]


    인간이 불행한 이유는 변화 때문이다. 내가 가만이 있는데도 좌절과 실패와 상실과 질병과 죽음이 따라온다. 이 문제들은 나의 바깥에서 침투해 들어오므로 개인 차원에서 해결할 수 없다. 미리 그 바깥과 사귀어두지 않으면 안 된다. 나의 바깥에는 사회와 자연이 있다. 실패와 좌절은 사회로부터 오는 것이며, 상실과 질병과 죽음은 자연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먼저 사회의 중심으로 쳐들어가서 실패와 좌절을 결정하고, 내가 먼저 자연으로 쳐들어가서 상실과 질병과 죽음을 결정하면 된다. 그것이 존엄이다.


aDSC01523.JPG


[레벨:30]솔숲길

2016.03.24 (17:45:39)

[생각의 정석 81회] 아몰랑~ 매드 메르스!

http://gujoron.com/xe/59881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549
3504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050
3503 사랑 104, 사랑의 정답은 image 1 김동렬 2016-05-03 5939
3502 바둑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6-05-02 5651
3501 왜 남인세력이 문제인가?(수정) image 김동렬 2016-04-30 6740
3500 공자의 죽음과 부활 image 김동렬 2016-04-29 6894
3499 사랑 103, 남의 잘못에 화내기 image 2 김동렬 2016-04-28 6153
3498 사랑 102, 어려운 결정에 도전하라 image 4 김동렬 2016-04-27 5850
3497 사랑 101, 운전석에서 바라보라. image 2 김동렬 2016-04-26 5368
3496 율곡이 퇴계보다 높다 image 3 김동렬 2016-04-26 6494
3495 서구철학은 죽었다 image 4 김동렬 2016-04-25 6564
3494 사랑 100, 팀은 복제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5 5115
3493 신을 부정할 수는 없다. image 김동렬 2016-04-22 6109
3492 신은 누구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4-21 6426
3491 사랑 99. 완전해야 눈물이 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1 5688
3490 사랑 98. 진보는 모두와 친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4-20 5409
3489 구조론이 더 쉽다 image 4 김동렬 2016-04-19 5674
3488 더 높은 층위의 세계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6-04-19 6074
3487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image 2 김동렬 2016-04-19 6278
3486 신과의 대화란 무엇인가? image 10 김동렬 2016-04-18 6592
3485 사랑 97, 캐릭터를 만들자 image 1 김동렬 2016-04-18 5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