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95 vote 0 2016.03.22 (10:31:03)

     

    구조론은 에너지를 통제하는 테크닉이다. 연장을 다룰줄 아는 기술자가 되어야 한다. 훌륭한 인격, 도덕적인 마음가짐 따위 필요없다. 그것은 부족민 사회의 족장이 되고자 하는 욕망이다. 혹은 봉건시대의 가부장이 되고자 하는 저급한 욕망이다. 그 욕망을 극복해야 한다. 건축가는 집을 잘 지으면 되고, 구조론자는 에너지를 잘 운용하면 된다. 에너지를 운용하려면 어떤 경우에도 주어진 상황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진정성은 순수한 자의 뜨거운 눈물에서가 아니라 유능한 기술자의 여유에서 나온다. 기술없이 진정성만 챙기려 한다면 가짜다. [생각의 정석 79회]


    순수를 표방하지만 맹탕인 경우가 많다. 안철수의 욕망이 그러하다. 순수를 표방하지만 무지에 다름 아니다. 운전면허가 없는 사람이 ‘나는 자동차로 돈 벌 욕심이 없다. 그냥 한 번 몰아보고 싶을 뿐이다.’ 하고 말하는 격이다. 차라리 자동차로 돈 벌 욕심이 있는 사람이 낫다. 그냥 한 번 몰아보고 싶어 하는 초보에게 운전대를 맡기지 말라. 순수한 자의 거짓 진정성이 위험하다. 아마추어의 주제넘은 욕심이야말로 불순한 욕망이다. 프로는 맘따라 안 가고 결따라 간다. 파죽지세라고 한다. 대나무가 결정하지 장인이 결정하지 않는다. 도리어 믿을 수 있다. 사람은 변덕을 부리지만 대나무는 변덕을 부리지 않는다. 결따라 가는 프로에게 진정성이 있다.


aDSC01523.JPG



    순수하다는 말처럼 불순한 말이 있을까요? '나는 처녀다' 하고 누가 주장한다면 '나는 창녀다.'라는 말로 들립니다. 그저 인간이 있을 뿐 처녀와 창녀의 구분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을 창녀취급하는 불순한 의도가 있을 뿐입니다. 순수라는 말은 무지를 미화하는 용도로 쓰여 왔습니다. 처녀라는 말은 성을 상품화 하는 용도로 쓰여 왔습니다. 글자 아는 사람이라면 사용하지 말아야 할 단어입니다. 저는 처녀라는 말을 쓰지 말라고 할 때만 이 단어를 씁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3.22 (10:35:51)

[생각의 정석 79회] 노무현 대통령, 서거 6주기

http://gujoron.com/xe/59546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91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8-15 6874
3590 왜 여성은 아름다운가? image 14 김동렬 2016-08-12 10145
3589 사랑 127, 사랑이 정답이다 image 2 김동렬 2016-08-11 6700
3588 환경이 역사를 결정한다 image 김동렬 2016-08-09 6223
3587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08 9591
3586 역사는 진화의 역사다 image 1 김동렬 2016-08-08 6453
3585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663
3584 누가 역사의 승리자인가? image 3 김동렬 2016-08-06 6311
3583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image 김동렬 2016-08-05 6446
3582 구조론자의 교양을 학습하라 image 김동렬 2016-08-04 7250
3581 서양철학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6-08-02 9250
3580 사랑 126, 첫 키스의 추억 image 1 김동렬 2016-08-01 6085
3579 주최측의 의도를 헤아려라 image 1 김동렬 2016-07-31 6683
3578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7128
3577 신간 ‘공자 대 노자’를 내면서 image 7 김동렬 2016-07-28 22820
3576 사랑 125, 빛과 그림자 image 1 김동렬 2016-07-26 5759
3575 왜 공자이고 또 노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16-07-25 6074
3574 진리의 매개체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7-25 5687
3573 사랑 124, 진격은 쾌속이 정답 1 김동렬 2016-07-21 5678
3572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6-07-20 6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