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88 vote 0 2016.03.22 (10:31:03)

     

    구조론은 에너지를 통제하는 테크닉이다. 연장을 다룰줄 아는 기술자가 되어야 한다. 훌륭한 인격, 도덕적인 마음가짐 따위 필요없다. 그것은 부족민 사회의 족장이 되고자 하는 욕망이다. 혹은 봉건시대의 가부장이 되고자 하는 저급한 욕망이다. 그 욕망을 극복해야 한다. 건축가는 집을 잘 지으면 되고, 구조론자는 에너지를 잘 운용하면 된다. 에너지를 운용하려면 어떤 경우에도 주어진 상황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진정성은 순수한 자의 뜨거운 눈물에서가 아니라 유능한 기술자의 여유에서 나온다. 기술없이 진정성만 챙기려 한다면 가짜다. [생각의 정석 79회]


    순수를 표방하지만 맹탕인 경우가 많다. 안철수의 욕망이 그러하다. 순수를 표방하지만 무지에 다름 아니다. 운전면허가 없는 사람이 ‘나는 자동차로 돈 벌 욕심이 없다. 그냥 한 번 몰아보고 싶을 뿐이다.’ 하고 말하는 격이다. 차라리 자동차로 돈 벌 욕심이 있는 사람이 낫다. 그냥 한 번 몰아보고 싶어 하는 초보에게 운전대를 맡기지 말라. 순수한 자의 거짓 진정성이 위험하다. 아마추어의 주제넘은 욕심이야말로 불순한 욕망이다. 프로는 맘따라 안 가고 결따라 간다. 파죽지세라고 한다. 대나무가 결정하지 장인이 결정하지 않는다. 도리어 믿을 수 있다. 사람은 변덕을 부리지만 대나무는 변덕을 부리지 않는다. 결따라 가는 프로에게 진정성이 있다.


aDSC01523.JPG



    순수하다는 말처럼 불순한 말이 있을까요? '나는 처녀다' 하고 누가 주장한다면 '나는 창녀다.'라는 말로 들립니다. 그저 인간이 있을 뿐 처녀와 창녀의 구분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을 창녀취급하는 불순한 의도가 있을 뿐입니다. 순수라는 말은 무지를 미화하는 용도로 쓰여 왔습니다. 처녀라는 말은 성을 상품화 하는 용도로 쓰여 왔습니다. 글자 아는 사람이라면 사용하지 말아야 할 단어입니다. 저는 처녀라는 말을 쓰지 말라고 할 때만 이 단어를 씁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3.22 (10:35:51)

[생각의 정석 79회] 노무현 대통령, 서거 6주기

http://gujoron.com/xe/59546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7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40
4055 새로운 학문의 도구 구조론 image 4 김동렬 2013-04-07 11335
4054 사건에 맞서라 image 2 김동렬 2018-03-26 11333
4053 노무현의 뚝심 김동렬 2007-04-03 11331
4052 소크라테스의 변명 10 김동렬 2014-03-07 11330
4051 물레는 방아보다 복잡하다. image 1 김동렬 2018-04-01 11316
4050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3-01-15 11313
4049 횡설수설 율곡퇴계 image 8 김동렬 2012-11-07 11312
4048 구조론 개념도 김동렬 2008-04-30 11312
4047 자연의 완전성과 교감하기 김동렬 2007-07-17 11306
4046 시대정신의 랜드마크 김동렬 2006-02-23 11299
4045 한국과 일본의 수준차이 image 1 김동렬 2015-06-24 11298
4044 약한 고리의 보호 image 3 김동렬 2012-11-17 11292
4043 위상의 균일 image 5 김동렬 2011-09-25 11284
4042 결따라 가라 image 4 김동렬 2012-02-20 11282
4041 복잡에서 단순으로. image 김동렬 2016-11-22 11275
4040 시간이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3-11 11273
4039 팀 케미스트리가 방향을 결정한다. image 6 김동렬 2011-12-19 11272
4038 핵실험 - 호들갑 떨 필요있나? 김동렬 2006-10-10 11272
4037 깨달음의 의미 image 11 김동렬 2012-01-14 11270
4036 최종이론의 의미 김동렬 2007-01-17 11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