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217 vote 0 2016.03.21 (12:04:37)

 
    과학은 어려운 것을 쉽도록 만든다. 계산기를 쓰면 셈이 쉽다. 유전자를 쓰면 진화가 쉽다. 인간의 사회성을 쓰면 마음의 평화가 쉽다. 돈을 찍어내면 경제가 쉽다. 포메이션을 쓰면 축구가 쉽고, 작전을 쓰면 야구가 쉽다. 전략을 쓰면 전쟁이 쉽고, 포석을 쓰면 바둑이 쉽다. 존엄을 쓰면 사랑이 쉽고, 구도를 쓰면 그림이 쉽고, 화음을 쓰면 음악이 쉽다. 구조의 엮임을 쓰면 의사결정이 쉽다. [생각의 정석 78회]


    구조는 이중구조다. 배후에 보이지 않는 하나가 더 있다. 그것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결따라 간다. 결은 의사결정의 결이다. 의사결정할 수 있는 구조로 가는 것이 정답이다. 사람은 네거리에서 의사결정한다. 그곳이 목이 좋은 곳이다. 사랑에도 그러한 목이 있다. 사랑의 네거리가 있고 사랑의 막다른 길이 있다. 네거리는 길하고 막다른 곳은 불길하다. 카드 두 장으로 승부하면 네거리가 되고, 한 장 뿐이면 막다른 길이 된다. 상대방에게 카드 한 장을 더 주는 것은 고수의 방법이다. 


aDSC01523.JPG


    오른쪽으로 가더라도 왼쪽을 힐끗 보고 가야 합니다. 간통죄를 폐지하니 되레 이혼이 감소한 것과 같습니다. 맞바람이라는 형태로 대응할 수 있는 카드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 결정권을 가지면 상황을 극단적으로 몰아가지 않습니다. 상대방을 이기고 싶다면 카드 한 장을 더 주면 됩니다. 어차피 머리 나쁜 상대방은 그 카드를 써먹지도 못할테니까. 선택권을 주면 선택을 유보하는게 인간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3.21 (15:08:44)

[생각의 정석 78회] 5.18, 인간과 비인간을 가르는 경계

http://gujoron.com/xe/593944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4990
3531 20세기를 보내면서 4 김동렬 2014-07-08 7287
3530 바른 의사결정은 어렵다 image 9 김동렬 2015-01-25 7287
3529 교육의 정답은 물리적인 통제다(수정) image 4 김동렬 2015-10-03 7289
3528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299
3527 사랑이냐 권력이냐? image 10 김동렬 2015-05-01 7305
3526 구조론과 관념론 1 김동렬 2018-07-09 7333
3525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4-04-10 7341
3524 시행착오의 이유 김동렬 2018-07-09 7341
3523 식민사관 본질은 인종주의다 image 11 김동렬 2016-05-18 7362
3522 구조론은 의사결정학이다 image 1 김동렬 2014-04-21 7365
3521 존엄이냐 행복이냐 image 3 김동렬 2014-12-13 7365
3520 간은 무한이다 image 6 김동렬 2014-11-04 7370
3519 구조론 쉽게 익히기 image 4 김동렬 2014-07-27 7371
3518 자본은 왜 발전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9-10 7373
3517 에너지의 탄생 image 1 김동렬 2016-08-29 7382
3516 석가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image 김동렬 2016-08-30 7382
3515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7387
3514 너희는 진리를 사랑하라 image 김동렬 2016-09-06 7389
3513 철학에서 미학으로 image 2 김동렬 2016-08-31 7390
3512 구조론이 좋은 이유 6 김동렬 2014-03-23 7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