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86 vote 0 2016.03.08 (14:47:07)

       

    반응할줄 아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반응하라고 하면 홀려버리는게 보통이다. 높은 층위에서의 부르는 목소리에 반응하지 않으므로, 작은 것에 지나치게 잘 반응한다. 음식의 맛에 반응하는건 좋지만, 맛에 집착하면 향을 모른다. 향에 집착하면 분위기를 모른다. 분위기에 집착하면 소통을 모른다. 그러므로 만나야 할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 유쾌한 긴장 안에서 호흡하지 못한다. 상대방에게 홀리지 말고 내가 상대방을 홀릴 때 통한다. 그래야 만난다. [생각의 정석 69회]


    호응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그러나 낮은 단계에 반응할 뿐 높은 단계에 호응하지 못한다. 역할을 나누고, 칸을 나누고, 담장을 쌓고, 격리하는 방법으로 구조 안에서 잘 반응할 뿐 그 역할과 구조를 넘어서지는 못한다. 내 안에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유혹할 수 있어야 한다. 유혹에 잘 넘어가는 방법으로 유혹할 수 있다. 높은 단위의 유혹에 넘어가는 방법으로, 낮은 단위의 상대를 유혹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진리로 유혹하고, 천하로 유혹해야 한다. 그것이 호응이다. 반응은 안에서 응답하고 호응은 밖에서 응답한다. 반응에 그치지 말고 호응으로 올라서야 한다.



aDSC01523.JPG


[레벨:30]솔숲길

2016.03.08 (17:05:02)

[생각의 정석 69회] 조선은 왜 망했는가?

http://gujoron.com/xe/57406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7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86
3472 사랑 92, 줄 서지 마라 image 1 김동렬 2016-04-07 5102
3471 사랑 91, 자기 언어를 얻어라. image 1 김동렬 2016-04-06 5393
3470 탈레스, 니체, 공자 image 1 김동렬 2016-04-06 5466
3469 잔다르크의 성공과 실패 image 김동렬 2016-04-05 5835
3468 사랑 90, 사실주의가 답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4-05 4938
3467 사랑 89, 아름다움에 도전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4-04 5015
3466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189
3465 아름다워야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2 5106
3464 사랑 88, 관측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4-01 4983
3463 의사결정원리 image 3 김동렬 2016-03-31 5931
3462 사랑 87, 역사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6-03-31 4951
3461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201
3460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3-29 5300
3459 사랑 85, 평등에서 평등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29 5089
3458 완전하면 예측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03-28 5014
3457 사랑 83, 내 안에 내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3-28 5023
3456 조절장치가 있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03-26 5094
3455 깨달음 5분 요약 image 김동렬 2016-03-25 5233
3454 사랑 82, 강자의 자유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3-25 5817
3453 니체 쇼펜하우어 공자 image 김동렬 2016-03-24 5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