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81 vote 0 2016.03.01 (22:56:10)

   

1.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2.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3.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1.은 구조론에서 하지 말라는 자기소개다. 그런데 시는 원래 자기소개다. 자기소개를 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다. 벌여놓고 수습해야 한다는 말이다.

1.이 내면을 성찰하는 자기소개라면 2.는 밖을 둘러보고 계획을 말하는 것이다. 안에서 밖으로 대칭을 이루어 공간의 간격을 벌렸다. 여기서 끝내면 지하철 시다.

3.은 이 생각이 내 개인의 신세타령이 아니라 인류 모두에게 해당된다는 거다. 별은 영원한 것이다. 보편성을 나타낸다. 누구든 고개만 들면 별을 볼 수 있다.

그때만 해도 밤하늘에 별이 많았다. 요즘은 서울 하늘에서 별보기가 별따기지만. 내 개인의 특수성이 아니라 인류 모두의 보편성이다. 누구에게나 자신의 별이 있다.

보편성을 얻으면 도약한다. 그렇다면 찾아야 할 숨은 전제는? 독자와 화자의 관계다. 독자는 읽고 시인은 쓴다. 독자는 압박면접 하는 면접관처럼 질문을 던진다.

'너 누구야?' '뭔데?' '웬 허접?' 이 표정으로 째려보는 것이다. 남의 시간을 1분 이상 뺏었으면 납득할만한 근거를 대야 한다. '친구야! 나야. 동주라구.' 이렇게 둘러댄다. 

'내가 니 친구냐?' '언제봤다고?' 이런 칼날이 들어온다. 어쩔 것인가? 30초 안에 납득시켜야 한다.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그럴 때 너는 전율하지 않았는가?'

그렇다. 체험의 공유를 불러낸다. 별은 밤에 보는 것이다. 밤 공기가 차다. 오들오들 떨며 별을 쳐다본 기억을 누구나 갖고 있다. 팔뚝에 소름이 쫙 잡힌 채로 말이다.

그러므로 나는 네게 말을 걸 자격이 있다. 왜냐하면 체험을 공유하니까. 우리는 그렇게 연결되어 있으니까. 세상은 원래 모두 연결되어 있으니까. 내 안에 너 있으니까.


[레벨:11]sooien

2016.03.02 (00:41:25)

전제의 정체는 전체로군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3.02 (00:53:23)

그렇소.

언어는 전체로부터 부분으로 연역합니다.

전체는 감추어져 있고 부분은 드러나 있습니다.

부분을 말하지만 그 숨은 전체를 깔고 들어가는 것입니다.

시는 내 느낌을 말하지만 실은 인류를 깔고 들어가는 것입니다.

인류의 대표자로서 말하는 것입니다.

[레벨:5]vandil

2016.03.02 (10:45:10)

토대의 공유를 발견하느냐의 문제, 발견했으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해야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3.02 (20:00:20)

보통 학교 시험 문제의 답은 "시대적 배경 혹은 화자의 세계관"이라고 하더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6.03.02 (20:53:33)

그건 마광수의 해석입니다.
이미지와는 다르게 마광수가 윤동주 시 해석의
권위자 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90
1050 생각의 정석 112회 오세 2016-02-04 3415
1049 힉스입자와 구조론 1 김동렬 2016-02-11 3499
1048 자연선택의 실패 김동렬 2016-02-11 3699
1047 [제민] 위안부 할머니께 노벨상을! 2 ahmoo 2016-02-15 3347
1046 숨은 전제를 깨달음 image 1 김동렬 2016-02-15 3757
1045 생각의 정석 113회 1 오세 2016-02-16 3472
1044 생각의 정석 114회 오세 2016-02-20 3286
1043 혜민을 특별히 베려하는 이유 9 김동렬 2016-02-23 6290
1042 숨은 전제 훈련하기 image 9 김동렬 2016-02-23 5464
1041 생각의 정석 115회 오세 2016-02-27 3378
» 숨은 전체 찾아보기 5 김동렬 2016-03-01 3781
1039 형상법칙 = 구조론 김동렬 2016-03-03 4064
1038 생각의 정석 116회 오세 2016-03-05 3415
1037 바둑 구조론 김동렬 2016-03-08 4711
1036 생각의 정석 117회 -알파고 특집 3 오세 2016-03-12 4018
1035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6-03-17 3554
1034 생각의 정석 118회 1 오세 2016-03-19 3337
1033 미래에 미리 가기 눈마 2016-03-25 3276
1032 생각의 정석 119회 오세 2016-03-26 3315
1031 한국인의 뿌리는 흉노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6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