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54 vote 0 2016.02.29 (10:37:42)

     

    개는 절대로 사람이 될 수 없다. 깨닫지 못한 사람은 영원히 깨달을 수 없다. 깨달음은 원래 사람인데 자신을 개로 착각하여 개짓하고 사는 사람을, 다시 본래의 어엿한 사람으로 되돌려놓을 뿐이다. 원래 깨달음이 갖추어 있는데, 헷갈린 사람을 제 위치로 돌려줄 뿐이다. 구조론은 원래부터 존재하여 있는 것을 가져다 쓴다. 잘 살펴보면 굉장히 많은 것이 원래부터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원래 부자다. 단 쓸 줄을 몰라서, 써 본 적이 없어서, 곳간에 금을 쟁여놓고도 그동안 딴짓을 하고 있었던 거다. [생각의 정석 63회]


    석가의 제자 오백비구는 쉽게 깨달았다. 육조 혜능 때도 다들 쉽게 깨달았다. 그 때는 첫째 그 사회의 우수한 엘리트가 그곳에 모여있었고, 둘째 그 시대에 해결해야 할 문제의 난이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똑똑한 사람이 로스쿨로 발길을 돌리고 있고, 멍청한 사람이 턱도 없이 깨달음을 붙잡고 있다. 게다가 양자역학과 대결하여 이겨보여야 한다. 이 시대의 깨달음은 아인슈타인과 스티브 잡스를 상대해야 한다. 깨달음이 어려운 것이 아니다. 깨달음으로 팀을 이루어 인류의 정상을 차지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 시대에 번뇌를 해결한다며 자기 문제를 붙잡고 있는 사람은 깨달을 수 없다. 그건 2500년 전에 졸업한 과목이 아닌가? 부단히 진도를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aDSC01523.JPG


    개에게는 불성이 없습니다. 개도 깨달을 수 있지만 깨달아봤자 '멍멍멍'입니다. 개는 인류와 팀을 이룰 수 없습니다. 개는 아인슈타인을 이길 수 없습니다. 개가 깨달아봤자 그저 좋은 개가 될 뿐입니다. 깨달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인류의 대표성을 획득하느냐의 문제입니다. 개는 개의 대표가 될지언정 인류의 대표가 될 수 없습니다. 인류의 대표자가 되지 않으면 깨달음이 아닙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2.29 (16:39:17)

[생각의 정석 63] 돈이란 무엇인가?

http://gujoron.com/xe/55994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68
2797 구조는 이중구조다 image 김동렬 2015-10-26 5125
2796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125
2795 노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1 김동렬 2016-02-15 5124
2794 사랑 65, 한국인은 대접받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2 5123
2793 사랑 100, 팀은 복제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5 5122
2792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115
2791 사랑의 정석 62, 소들의 평상심 image 1 김동렬 2016-02-26 5112
2790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108
2789 사랑의 정석 44, 신과의 일대일 image 1 김동렬 2016-01-30 5107
2788 사랑 120, 갈 길이 멀다 1 김동렬 2016-07-07 5094
2787 세상은 복제다 2 김동렬 2015-08-28 5093
2786 노자 8, 무위는 필망이라 image 1 김동렬 2016-02-13 5092
2785 공자 11, 문을 통하지 않고 나가랴 image 1 김동렬 2016-02-08 5089
2784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089
2783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087
2782 사랑 81, 나의 바깥과 사귀어두라 image 1 김동렬 2016-03-24 5083
2781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 image 김동렬 2015-11-09 5083
2780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5079
2779 사랑의 정석 55, 나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5075
2778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