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3146 vote 0 2016.02.24 (12:39:45)

눈길에서도 잘 걷는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24 (12:53:39)

로봇 괴롭히는걸 보면 왜그렇게 맘이 안좋은지 모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6.02.24 (21:09:45)

그러게요. 로보트가 자빠지니까 사람이 넘어지는 거 처럼 안타까운 마음이 자동으로 드는군요. 

로봇이 사람처럼 움직이다 보니, 관찰자 마음에 자동으로  로봇에 대한 의인화 작업이 되는건가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26 (14:06:57)

저는 그런 마음이 단순한 마음의 착시라고만 보고싶지 않습니다.

우리가 만든 피조물에게도 그 어떤 권리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2.24 (13:06:08)

무게중심이 더 높아야 할듯

[레벨:3]호롱

2016.02.24 (13:25:09)

우와~ 균형 감감이 상당히 좋네요. 놀랍습니다!

[레벨:17]눈마

2016.02.24 (14:59:23)

엄청난 베터리. 엠아티 하바드 나온 스마트들+ 보스턴이라는 대도시.
[레벨:10]다원이

2016.02.24 (15:31:47)

무게중심이 더 높아야 한다는 말씀에 동감. 발의 움직임만 잽싸다면 무게중심이 높은 게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6.02.24 (17:27:29)

사람처럼 척추가 있어서

상체를 이리저리 움직이며 중심을 잡는게 아닌지라

마치 이등병이 강요된 각을 잡는 것처럼

걸어가는 모습에서 상당히 위화감이 느껴집니다.


사람은 머리가 무거워서 자연스럽게 무게 중심이 위에 있는데

지금과 같은 기술에서는 무게 중심이 조금만 더 높았다간

넘어지기 쉽상일 듯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2.24 (17:54:39)

그게 구조론을 모르는 거지요.

무게중심이 높아야 쓰러지지 않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2.24 (18:19:55)

어떤 길이가 있으면 

그에 따른 파장이 있습니다.


일종의 주파수 같은게 있다는 거죠.

손가락 위에 볼펜을 세워보세요. 


볼펜의 주파수는? 

1미터 정도의 긴 막대를 세워보세요.


막대의 주파수는? 

볼펜은 파장이 너무 짧아서 가늠할 수 없고


막대는 에너지가 양쪽 끝까지 왕복하는 시간이 0.1초라고 합시다.

대략 주파수가 계산되는데 중심에 축이 생깁니다.


축을 중심으로 막대를 받친 손과 꼭대기가 반대로 움직인다는 거죠.

길이가 길수록 축을 움직여서 밸런스를 구할 수가 있습니다.


에너지가 막대의 끝까지 왕복하면서 중간에서 충돌하는데

축이 생성되면 축이 움직여서 균형을 잡습니다. 


제목 없음.jpg

탁자 난간에 막대를 아슬아슬하게 걸쳐놓고 살짝 누른다고 합시다.

A와 B 지점을 각각 5밀리 정도 누른다면 어느 쪽을 눌러야 막대가 바닥에 떨어질까요? 


무게중심이 높으면 키가 크고 A를 누른 것과 같아서 정당한 태클로 인정받습니다.

B를 누르면 강정호 무릎이 깨져서 퇴장이 선언됩니다. 위험한 높은 태클이죠. 


키가 작은 로봇은 항상 높은 태클을 당합니다.

작은 돌부리에 걸려도 넘어집니다. 


중국 무술에 발을 돌려서 발목을 거는게 있는데 그거 애들한테만 됩니다.

소림사 무술이 백전백패 하는게 이유가 있죠.


키 큰 사람들은 정통으로 들어가도 기술이 안 걸리.

딴죽을 걸어도 안자빠져부러.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4]펭귄

2016.02.24 (21:39:37)

유연한 고층건물이 딱딱한 저층건물보다 
지진에 강한 원리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진동수, 즉 주기조절로 충격에 대응하는 거죠.

이 로봇의 경우는 키를 똑같이 유지한다고 했을때 
다리를 길게 만들어야 할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태현태현

2016.02.24 (18:39:45)

로봇시대 먼 이야기가 아니라 코앞이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192 진정한 열사 윤창중 3 까뮈 2013-05-13 3147
3191 유전자는 발명된 것 9 정청와 2012-02-04 3147
3190 꼬리자르기 - 머리자르기 image 아란도 2017-07-06 3146
3189 김연아 프리 무슨 수로 보나 14 까뮈 2014-02-20 3146
3188 학원가기 싫은 날 image 5 이상우 2015-05-11 3145
3187 북유럽 가는데요. 조언을 구합니다. 11 이상우 2014-07-28 3145
3186 이정희 퀴즈 22 새벽강 2012-12-16 3143
3185 인간을 계발하는 방법에 관하여 참고자료를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image 11 이기준 2012-06-20 3143
3184 애니 레보비츠 사진.. image 아란도 2014-01-20 3142
3183 나이 들어간다는것..... 2 폴라리스 2010-05-05 3142
3182 2014 대망의 새해 맞이 번개 image 6 ahmoo 2013-12-30 3141
3181 부암동 소소한파티 image 3 이산 2017-06-23 3140
3180 고 김광석 18 주기를 추모하며... 3 아란도 2014-01-07 3140
3179 명절이 끝나면 일상으로 돌아가야지요 2 까뮈 2013-09-22 3140
3178 안철수 단상 4 노매드 2011-09-03 3140
3177 인공지능, 입력(질)의 단계에서 바라보다. 3 백공팔 2016-03-08 3139
3176 대화법을 가지고 아이들이 성장하는 학교 모델 만드실 분 없나요? 3 이상우 2013-06-24 3138
3175 제발 말좀 쉽게 하란 말이야! 3 노매드 2010-05-26 3138
3174 주말모임 공지 20 뛰뛰빵빵 2016-01-13 3137
3173 안녕하세요 1 발데라마 2008-11-27 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