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read 3144 vote 0 2016.02.24 (12:39:45)

눈길에서도 잘 걷는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24 (12:53:39)

로봇 괴롭히는걸 보면 왜그렇게 맘이 안좋은지 모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6.02.24 (21:09:45)

그러게요. 로보트가 자빠지니까 사람이 넘어지는 거 처럼 안타까운 마음이 자동으로 드는군요. 

로봇이 사람처럼 움직이다 보니, 관찰자 마음에 자동으로  로봇에 대한 의인화 작업이 되는건가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26 (14:06:57)

저는 그런 마음이 단순한 마음의 착시라고만 보고싶지 않습니다.

우리가 만든 피조물에게도 그 어떤 권리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2.24 (13:06:08)

무게중심이 더 높아야 할듯

[레벨:3]호롱

2016.02.24 (13:25:09)

우와~ 균형 감감이 상당히 좋네요. 놀랍습니다!

[레벨:17]눈마

2016.02.24 (14:59:23)

엄청난 베터리. 엠아티 하바드 나온 스마트들+ 보스턴이라는 대도시.
[레벨:10]다원이

2016.02.24 (15:31:47)

무게중심이 더 높아야 한다는 말씀에 동감. 발의 움직임만 잽싸다면 무게중심이 높은 게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6.02.24 (17:27:29)

사람처럼 척추가 있어서

상체를 이리저리 움직이며 중심을 잡는게 아닌지라

마치 이등병이 강요된 각을 잡는 것처럼

걸어가는 모습에서 상당히 위화감이 느껴집니다.


사람은 머리가 무거워서 자연스럽게 무게 중심이 위에 있는데

지금과 같은 기술에서는 무게 중심이 조금만 더 높았다간

넘어지기 쉽상일 듯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2.24 (17:54:39)

그게 구조론을 모르는 거지요.

무게중심이 높아야 쓰러지지 않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2.24 (18:19:55)

어떤 길이가 있으면 

그에 따른 파장이 있습니다.


일종의 주파수 같은게 있다는 거죠.

손가락 위에 볼펜을 세워보세요. 


볼펜의 주파수는? 

1미터 정도의 긴 막대를 세워보세요.


막대의 주파수는? 

볼펜은 파장이 너무 짧아서 가늠할 수 없고


막대는 에너지가 양쪽 끝까지 왕복하는 시간이 0.1초라고 합시다.

대략 주파수가 계산되는데 중심에 축이 생깁니다.


축을 중심으로 막대를 받친 손과 꼭대기가 반대로 움직인다는 거죠.

길이가 길수록 축을 움직여서 밸런스를 구할 수가 있습니다.


에너지가 막대의 끝까지 왕복하면서 중간에서 충돌하는데

축이 생성되면 축이 움직여서 균형을 잡습니다. 


제목 없음.jpg

탁자 난간에 막대를 아슬아슬하게 걸쳐놓고 살짝 누른다고 합시다.

A와 B 지점을 각각 5밀리 정도 누른다면 어느 쪽을 눌러야 막대가 바닥에 떨어질까요? 


무게중심이 높으면 키가 크고 A를 누른 것과 같아서 정당한 태클로 인정받습니다.

B를 누르면 강정호 무릎이 깨져서 퇴장이 선언됩니다. 위험한 높은 태클이죠. 


키가 작은 로봇은 항상 높은 태클을 당합니다.

작은 돌부리에 걸려도 넘어집니다. 


중국 무술에 발을 돌려서 발목을 거는게 있는데 그거 애들한테만 됩니다.

소림사 무술이 백전백패 하는게 이유가 있죠.


키 큰 사람들은 정통으로 들어가도 기술이 안 걸리.

딴죽을 걸어도 안자빠져부러.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4]펭귄

2016.02.24 (21:39:37)

유연한 고층건물이 딱딱한 저층건물보다 
지진에 강한 원리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진동수, 즉 주기조절로 충격에 대응하는 거죠.

이 로봇의 경우는 키를 똑같이 유지한다고 했을때 
다리를 길게 만들어야 할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태현태현

2016.02.24 (18:39:45)

로봇시대 먼 이야기가 아니라 코앞이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892 안철수 단상 4 노매드 2011-09-03 3139
1891 2014 대망의 새해 맞이 번개 image 6 ahmoo 2013-12-30 3139
1890 인공지능, 입력(질)의 단계에서 바라보다. 3 백공팔 2016-03-08 3139
1889 인간을 계발하는 방법에 관하여 참고자료를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image 11 이기준 2012-06-20 3140
1888 고 김광석 18 주기를 추모하며... 3 아란도 2014-01-07 3140
1887 꼬리자르기 - 머리자르기 image 아란도 2017-07-06 3140
1886 이정희 퀴즈 22 새벽강 2012-12-16 3142
1885 애니 레보비츠 사진.. image 아란도 2014-01-20 3142
1884 머신러닝의 구조론적 분류 image 1 챠우 2019-12-30 3142
1883 학원가기 싫은 날 image 5 이상우 2015-05-11 3143
1882 운동장 김여사 이야기 2 이상우 2012-04-24 3144
1881 북유럽 가는데요. 조언을 구합니다. 11 이상우 2014-07-28 3144
1880 김연아 프리 무슨 수로 보나 14 까뮈 2014-02-20 3145
» 최신 휴머노이드 로봇 12 오리 2016-02-24 3144
1878 유전자는 발명된 것 9 정청와 2012-02-04 3147
1877 진정한 열사 윤창중 3 까뮈 2013-05-13 3147
1876 이번주 문래 구조론 모임 image ahmoo 2013-11-20 3147
1875 팟캐스트 '생각의 정석' 후원안내 17 냥모 2015-04-06 3148
1874 새가슴 민주당 3 스타더스트 2010-05-25 3150
1873 행복한 느낌 6 지여 2011-03-02 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