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702 vote 0 2016.02.15 (10:20:06)

     

    진리는 하나다. 그래서 좋은 것이다. 어떤 대립된 둘 사이에서 공통된 하나를 찾으면 곧 진리에 이른다. 그 하나는 밖에서 보이지 않아도 어딘가에 반드시 있다. 그 공통된 하나가 없으면 대립된 둘도 생겨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커다란 하나를 이룬다. 의사결정은 언제라도 연결된 근원의 하나에서 일어나고, 그 결정된 사항의 집행은 언제나 말단부의 갈라진 둘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답은 뻔하다. 말단부에서 몸을 일으켜 줄기차게 근원의 하나로 쳐들어가는 것이다. 거기에서 모두 만나는 것이다. 만나서 즐거워하는 것이다. 목숨과도 바꿀 수 없는 그것, 진리를 깨닫는 즐거움에 빠져보자. [생각의 정석 53회]


    세상은 위와 아래, 부자와 빈자, 청결과 오염, 여자와 남자, 강자와 약자, 빛과 어둠처럼 둘로 대립되어 있다. 그렇게 대립된 곳은 언제나 말단부다. 왜곡되어 있다. 그곳에는 에너지가 없다. 그러므로 조절되지 않는다. 외부의 힘에 의해 휘둘린다. 속고 있다. 그러므로 화가 난다. 중앙으로 쳐들어가야 한다. 그곳에는 하나가 있다. 대립이 해소되고 있다. 거기서 만나고, 만나서 즐겁다. 그러나 그 하나는 중간이 아니다. 그곳은 출입문과 같다. 건물의 복도는 두 방 사이에 끼어 있지 않다. 그곳은 외부와 만나는 접점에 있다. 우리는 변방에서 몸을 일으켜 그곳으로 쳐들어가야 하지만 사실은 거기서 먼저 우리를 부르고 있다. 인터넷이 진작부터 네티즌을 부르고 있었다. 스마트폰이 진작부터 이용자를 부르고 있었다. 대문간에서 ‘철수야 놀자’ 하고 부르는 아이처럼 부르고 있었다. 그 애타는 부름에 호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aDSC01523.JPG


    중용은 가운데가 아닙니다. 하나의 대문에서 안방과 건넌방으로 갈라집니다. 갈라지는 곳이 중도입니다. 그곳은 안과 밖에 만나는 출입문입니다. 중간에서 중용을 찾지 말고 새로운 것이 들어오는 대문으로 가서 미래를 맞이하십시오. 에너지는 그곳에 있습니다. 진보와 보수의 가운데가 중도가 아닙니다. 진보와 보수로 갈라지는 에너지가 들어오는 출입문이 중도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2.15 (15:35:10)

[생각의 정석 53회] [야구특집] 누가 한국시리즈 우승 할 것인가?

http://gujoron.com/xe/53330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280
3438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835
3437 깨달음의 알파고 image 김동렬 2016-03-14 5279
3436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748
3435 사랑 72, 혼돈에서 질서로 image 1 김동렬 2016-03-11 5204
3434 사랑 71, 빽이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10 5277
3433 깨달음의 시험문제 image 김동렬 2016-03-09 5225
3432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39
3431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145
3430 망둥이와 꼴뚜기 image 4 김동렬 2016-03-07 6485
3429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129
3428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107
3427 일은 즐거워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3-04 5806
3426 사랑 67, 온전한 하나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3-04 5051
3425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117
3424 사랑 66, 집단이 행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010
3423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061
3422 사랑 65, 한국인은 대접받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2 5126
3421 깨달음은 위대한 만남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164
3420 곽거병의 성공과 위청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6-03-01 7858
3419 깨달음으로 이겨라 image 김동렬 2016-03-01 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