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read 9937 vote 0 2006.07.26 (20:53:48)

동렬님 다단계 판매 내지 네트웍 판매 방식이 구조적으로 잘못된건지
아님 악화 속에 양화가 구축될수 있는지...

김동렬

2006.07.27 (09:44:23)

구조적으로 잘못된 겁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김동렬

2006.07.27 (11:42:03)

질문을 하려면 좀 성의있게 써주세요.
육하원칙은 못하더라도 5하 정도는 나와줘야지 ..
제목에 '왜' 라고 한 글자 딱 써놓고 본문도 극도로 줄여서 써놓으면
솔직히 조낸 패주고 싶소.
왜 다단계가 안되냐고? 1+2=3이니까 안되지.
산수도 못하요?
이렇게 답하면 기분좋소?
제대로 된 질문이 아니면 제대로 된 답변이 안나오는 겁니다.
악화 속에 양화가 구축될 수 있는지.. <-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나요?

혹시 구축이라는 단어의 뜻을 모르고 쓰신건 아닌지?
김동렬

2006.07.27 (11:47:54)

달마방에 가서 노매드님 한테 DJ가 시도한 농산물 직거래가 왜 안되었는지 물어보면 대략 답이 나올겁니다. 농산물 직거래는 초등학생이 우주왕복선을 쏘겠다는 건데 고도의 전문기술을 요하는 전문분야를 아마추어가 주먹구구로 덤비면 당연히 안되지요. 가락동의 전문성이 100이라면 소비자는 1 정도로 착각하는데 이런 착오가 다 구조론을 몰라서 생기는 겁니다. 구조론에 따르면 하나의 단계를 건널 때 마다 5배의 복잡성이 존재합니다. 그 단계를 기술적으로 줄인다는 건 구조론적으로 거짓말이지요.
김동렬

2006.07.27 (11:51:08)

제가 늘 하는 말이 있는데.. 사기꾼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방법.. 사업제안을 하는데 먼저 A를 한 다음 B를 하고 하는 식으로 단계가 나오는데 이 단계가 셋이 넘으면 100프로 거짓말입니다. 5곱하기 5로 25배의 복잡성이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김동렬

2006.07.27 (11:58:21)

하긴 교사 없이 독학으로 성공하는 사람도 있고 변호사 없이 직접 변론해서 승소하는 사람도 있듯이 직거래도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분명한건 교사를 두는게 독학보다 더 효율적이고 변호사를 선임하는게 더 유리합니다. 어떤 일본인은 군대를 폐지하고 군대없는 정부를 유지하다가 적이 침략하거나 쿠데타가 일어나면 국민이 일제히 그 정부를 부인해 버리는 비협조전략을 제시하기도 했는데 문제는 그게 비용이 더 든다는 거지요. 하나의 단계를 건널 때 마다 5배로 일이 증가하는데 외견상으로는 보통 두 배로 증가하는듯이 보입니다.
김동렬

2006.07.27 (13:34:51)

암웨이도 비타민 등 주로 약장사로 버티고 있는데 약장사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속임수다. 차력사들이 파는 만병통치약이나 시골에서 노인 상대로 가짜약을 파는 사이비들과 무엇이 다른가? 한국에서 암웨이가 안되는 이유는 한국인들은 비타민 보다 한약을 주로 먹기 때문, 한국에서도 일부 되는 것은 한국인들 중에도 한약보다 비타민을 숭배하는 인간이 있기 때문.
김동렬

2006.07.27 (13:40:47)

다단계는 분업보다 협업이 낫다는 역발상.. 그러나 과연 협업이 분업보다 나을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952 유투브동영상 올리는 방법.(수정) image 68 배태현 2016-01-04 8771
4951 이것이 76미리 포탄이다 image 김동렬 2010-12-01 8766
4950 청주맛나게 마시기 13 곱슬이 2010-03-09 8746
494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 10 아란도 2010-08-10 8709
4948 역사의 반복, 비극과 희극.. 약수동목장갑 2013-06-19 8681
4947 유명인사가 된 소매치기 image 3 김동렬 2009-02-11 8681
4946 강병규 그리고 선수협의 진실 1 김동렬 2011-09-22 8660
4945 백발종군 - 만평의 신, 장도리 image 1 이상우 2012-12-05 8654
4944 뜬금없지만 PUA 이론도 구조론으로 설명이 되는거 같네요. 4 귤알갱이 2012-02-08 8625
4943 구조강론 사진 & 영상_20130509 image 3 냥모 2013-05-14 8624
4942 유혹 8 鄭敬和 2010-08-20 8623
4941 낙차, 대한민국 무한도전 3 ░담 2010-08-18 8576
4940 대선 포스터 image 9 지명 2012-11-26 8556
4939 네안데르탈인의 조각상? image 김동렬 2009-05-14 8509
4938 컴퓨터의 죽음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9-19 8499
4937 연주자의 꿈 김동렬 2006-06-27 8497
4936 서프 글쓰기에 대하여 1 열수 2005-10-03 8496
4935 운명의 바닥 또는 低點(저점)에 관하여 (2) _ 2010.9.28 (펌글) 7 곱슬이 2010-09-29 8472
4934 화학에서 가역적인 반응과 비가역적인 반응 2 이은지 2014-11-08 8471
4933 시스템을 여는자들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5-08 8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