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64 vote 0 2016.02.01 (11:15:34)

     

    “열다섯에 뜻을 세우고, 서른에 깨달았으며, 마흔에 유혹을 넘어섰고, 쉰에 하늘의 진리에 이르렀고, 예순에 세상을 받아들였고, 일흔 살에 자유로워졌다.”


    소년이 열다섯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하게 하는 본능의 영향을 받는다. 세상의 모순을 보고 뜻을 세우게 된다. 세상에 빈대붙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서른이면 세상과 맞서는 무기를 획득한다. 비로소 세상과의 싸움을 벌일 수 있다. 마흔이면 지도자가 되어 맞서고자 하는 마음을 극복한다. 무조건 상대의 반대로 도는 대칭행동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쉰이면 제자가 일을 물려받으니 내 안의 칼을 내려놓는다. 예순이면 제자가 독립하므로 믿고 맡긴다. 일흔이면 제자의 제자가 생겨나 3대다. 일이 완결되었으니 자연스러워졌다. 창업하여 회사를 운영해도 이렇게 되고, 조직을 이끌어도 이렇게 되고, 자식을 키워도 이렇게 된다. 열다섯이면 이성에 눈뜨고, 서른이면 결혼하고, 마흔이면 자식이 크고, 쉰이면 자식과 함께하고, 예순이면 자식에게 넘기고, 일흔에는 손자를 돌보며 휴식한다. 일의 한 사이클로 봐야 한다. 일은 시작에서 끝까지 다섯 단계를 거친다. 열다섯에 일을 발견하고, 서른에 일을 벌이고, 마흔에 일에 능숙해지고, 쉰에 일을 완성시키고, 예순이면 일을 내려놓는다. ‘이순’과 ‘종심소욕 불유구’는 사실상 같은 맥락이다. 제자와 손자와 부하가 일을 물려받아 스스로 키워가므로 일이 완결된다.



aDSC01523.JPG


    일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오직 일의 관점으로만 일이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의 준비와 시작과 진행과 완성과 승계로 보면 완벽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01 (13:40:46)

숨이 크게 트여집니다. 

이리 풀어놓은 걸 보시면 공자님이 큰 웃음 지으시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55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636
3404 깨달음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4-04-29 7650
3403 다섯가지 구조 그림풀이 image 2 김동렬 2016-09-15 7644
3402 신은 의사결정이다 5 김동렬 2014-06-22 7642
3401 수렴모형이냐 확산모형이냐? image 2 김동렬 2015-04-25 7637
3400 의식은 놔두고 존재를 바꾸라. image 김동렬* 2012-10-21 7630
3399 나를 건설하는 절차 image 3 김동렬 2014-11-25 7628
3398 객관이 틀렸다 7 김동렬 2014-06-16 7628
3397 결혼은 연애의 무덤인가? image 김동렬 2015-02-28 7617
3396 장자의 불완전한 1인칭 관점 1 김동렬 2014-07-30 7597
3395 높은 음과 낮은 음 image 3 김동렬 2014-11-16 7591
3394 구조론적 세계관이란? [추가] image 김동렬 2016-09-16 7590
3393 깨달음의 요지 8 김동렬 2014-06-18 7563
3392 유시민과 역이기의 삽질 1 김동렬 2018-07-19 7552
3391 신의 입장 김동렬 2018-07-18 7552
3390 좌표와 순서도 image 김동렬 2015-12-10 7545
3389 구조론적 사유 훈련하기 image 50 김동렬 2015-01-16 7542
3388 철학과 비철학 1 김동렬 2014-03-11 7540
3387 인간의 본질은 이기심이 아니다 image 1 김동렬 2016-09-14 7539
3386 존재의 최종근거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4-07-08 7537
3385 제프 베조스의 경우 3 김동렬 2018-07-25 7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