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24 vote 0 2016.02.01 (11:15:34)

     

    “열다섯에 뜻을 세우고, 서른에 깨달았으며, 마흔에 유혹을 넘어섰고, 쉰에 하늘의 진리에 이르렀고, 예순에 세상을 받아들였고, 일흔 살에 자유로워졌다.”


    소년이 열다섯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하게 하는 본능의 영향을 받는다. 세상의 모순을 보고 뜻을 세우게 된다. 세상에 빈대붙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서른이면 세상과 맞서는 무기를 획득한다. 비로소 세상과의 싸움을 벌일 수 있다. 마흔이면 지도자가 되어 맞서고자 하는 마음을 극복한다. 무조건 상대의 반대로 도는 대칭행동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쉰이면 제자가 일을 물려받으니 내 안의 칼을 내려놓는다. 예순이면 제자가 독립하므로 믿고 맡긴다. 일흔이면 제자의 제자가 생겨나 3대다. 일이 완결되었으니 자연스러워졌다. 창업하여 회사를 운영해도 이렇게 되고, 조직을 이끌어도 이렇게 되고, 자식을 키워도 이렇게 된다. 열다섯이면 이성에 눈뜨고, 서른이면 결혼하고, 마흔이면 자식이 크고, 쉰이면 자식과 함께하고, 예순이면 자식에게 넘기고, 일흔에는 손자를 돌보며 휴식한다. 일의 한 사이클로 봐야 한다. 일은 시작에서 끝까지 다섯 단계를 거친다. 열다섯에 일을 발견하고, 서른에 일을 벌이고, 마흔에 일에 능숙해지고, 쉰에 일을 완성시키고, 예순이면 일을 내려놓는다. ‘이순’과 ‘종심소욕 불유구’는 사실상 같은 맥락이다. 제자와 손자와 부하가 일을 물려받아 스스로 키워가므로 일이 완결된다.



aDSC01523.JPG


    일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오직 일의 관점으로만 일이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의 준비와 시작과 진행과 완성과 승계로 보면 완벽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01 (13:40:46)

숨이 크게 트여집니다. 

이리 풀어놓은 걸 보시면 공자님이 큰 웃음 지으시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236
3446 사랑 78, 구조를 쓰면 쉽다 image 1 김동렬 2016-03-21 5201
3445 언어도를 잇는다 image 2 김동렬 2016-03-20 5014
3444 구조론의 개요 image 김동렬 2016-03-19 5165
3443 사랑 77, 인류의 프로젝트 image 2 김동렬 2016-03-18 5110
3442 논어는 일높이 교육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3-17 5469
3441 사랑 76, 스티브 잡스의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3-17 5175
3440 사랑 75, 네오보다는 모피어스 image 1 김동렬 2016-03-16 5262
3439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2 김동렬 2016-03-16 28770
3438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810
3437 깨달음의 알파고 image 김동렬 2016-03-14 5251
3436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730
3435 사랑 72, 혼돈에서 질서로 image 1 김동렬 2016-03-11 5187
3434 사랑 71, 빽이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10 5255
3433 깨달음의 시험문제 image 김동렬 2016-03-09 5200
3432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18
3431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115
3430 망둥이와 꼴뚜기 image 4 김동렬 2016-03-07 6455
3429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100
3428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084
3427 일은 즐거워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3-04 5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