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23 vote 0 2016.02.01 (11:15:34)

     

    “열다섯에 뜻을 세우고, 서른에 깨달았으며, 마흔에 유혹을 넘어섰고, 쉰에 하늘의 진리에 이르렀고, 예순에 세상을 받아들였고, 일흔 살에 자유로워졌다.”


    소년이 열다섯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하게 하는 본능의 영향을 받는다. 세상의 모순을 보고 뜻을 세우게 된다. 세상에 빈대붙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서른이면 세상과 맞서는 무기를 획득한다. 비로소 세상과의 싸움을 벌일 수 있다. 마흔이면 지도자가 되어 맞서고자 하는 마음을 극복한다. 무조건 상대의 반대로 도는 대칭행동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쉰이면 제자가 일을 물려받으니 내 안의 칼을 내려놓는다. 예순이면 제자가 독립하므로 믿고 맡긴다. 일흔이면 제자의 제자가 생겨나 3대다. 일이 완결되었으니 자연스러워졌다. 창업하여 회사를 운영해도 이렇게 되고, 조직을 이끌어도 이렇게 되고, 자식을 키워도 이렇게 된다. 열다섯이면 이성에 눈뜨고, 서른이면 결혼하고, 마흔이면 자식이 크고, 쉰이면 자식과 함께하고, 예순이면 자식에게 넘기고, 일흔에는 손자를 돌보며 휴식한다. 일의 한 사이클로 봐야 한다. 일은 시작에서 끝까지 다섯 단계를 거친다. 열다섯에 일을 발견하고, 서른에 일을 벌이고, 마흔에 일에 능숙해지고, 쉰에 일을 완성시키고, 예순이면 일을 내려놓는다. ‘이순’과 ‘종심소욕 불유구’는 사실상 같은 맥락이다. 제자와 손자와 부하가 일을 물려받아 스스로 키워가므로 일이 완결된다.



aDSC01523.JPG


    일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오직 일의 관점으로만 일이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의 준비와 시작과 진행과 완성과 승계로 보면 완벽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01 (13:40:46)

숨이 크게 트여집니다. 

이리 풀어놓은 걸 보시면 공자님이 큰 웃음 지으시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594
3444 시간여행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4-11-10 8016
3443 리얼 액션을 해보자. 5 김동렬 2018-07-08 8015
3442 구조론의 개요 image 김동렬 2016-10-03 7984
3441 김동렬의 구조주의 3 김동렬 2014-07-04 7980
3440 구조론은 범신론이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6-09-26 7973
3439 시는 이백처럼 써라 5 김동렬 2014-09-19 7965
3438 만남이 천재를 결정한다 6 김동렬 2019-05-15 7963
3437 형식이 내용을 규정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11 7949
3436 글쓰기는 캐릭터가 9할이다 1 김동렬 2014-09-21 7947
3435 신과 나의 관계가 나를 규정한다. image 3 김동렬 2014-11-17 7946
3434 전략, 전술, 전투 image 4 김동렬 2014-04-30 7932
3433 진화의 방향성 image 김동렬 2015-02-12 7931
3432 의사결정구조의 세팅 7 김동렬 2014-04-25 7924
3431 양자구조론 김동렬 2007-11-17 7907
3430 신과의 일대일 3 김동렬 2014-06-05 7903
3429 강자 포지션과 약자 포지션 3 김동렬 2014-08-04 7857
3428 의사결정은 전략을 써라 image 2 김동렬 2014-04-23 7849
3427 곽거병의 성공과 위청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6-03-01 7846
3426 사랑은 상호작용이다. image 김동렬 2016-09-23 7830
3425 구조주의 언어학 image 김동렬 2016-09-19 7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