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85 vote 0 2016.02.01 (11:15:34)

     

    “열다섯에 뜻을 세우고, 서른에 깨달았으며, 마흔에 유혹을 넘어섰고, 쉰에 하늘의 진리에 이르렀고, 예순에 세상을 받아들였고, 일흔 살에 자유로워졌다.”


    소년이 열다섯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하게 하는 본능의 영향을 받는다. 세상의 모순을 보고 뜻을 세우게 된다. 세상에 빈대붙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서른이면 세상과 맞서는 무기를 획득한다. 비로소 세상과의 싸움을 벌일 수 있다. 마흔이면 지도자가 되어 맞서고자 하는 마음을 극복한다. 무조건 상대의 반대로 도는 대칭행동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쉰이면 제자가 일을 물려받으니 내 안의 칼을 내려놓는다. 예순이면 제자가 독립하므로 믿고 맡긴다. 일흔이면 제자의 제자가 생겨나 3대다. 일이 완결되었으니 자연스러워졌다. 창업하여 회사를 운영해도 이렇게 되고, 조직을 이끌어도 이렇게 되고, 자식을 키워도 이렇게 된다. 열다섯이면 이성에 눈뜨고, 서른이면 결혼하고, 마흔이면 자식이 크고, 쉰이면 자식과 함께하고, 예순이면 자식에게 넘기고, 일흔에는 손자를 돌보며 휴식한다. 일의 한 사이클로 봐야 한다. 일은 시작에서 끝까지 다섯 단계를 거친다. 열다섯에 일을 발견하고, 서른에 일을 벌이고, 마흔에 일에 능숙해지고, 쉰에 일을 완성시키고, 예순이면 일을 내려놓는다. ‘이순’과 ‘종심소욕 불유구’는 사실상 같은 맥락이다. 제자와 손자와 부하가 일을 물려받아 스스로 키워가므로 일이 완결된다.



aDSC01523.JPG


    일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오직 일의 관점으로만 일이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의 준비와 시작과 진행과 완성과 승계로 보면 완벽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01 (13:40:46)

숨이 크게 트여집니다. 

이리 풀어놓은 걸 보시면 공자님이 큰 웃음 지으시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3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49
3411 대칭을 훈련하라 image 김동렬 2015-08-06 8163
3410 깨달음의 기쁨 6 김동렬 2014-06-09 8169
3409 김기덕 감독 image 김동렬* 2012-10-21 8171
3408 명필은 붓을 고친다 4 김동렬 2014-05-31 8187
3407 존재규정의 문제 image 김동렬* 2012-10-21 8189
3406 관점의 설정 1 김동렬 2014-02-26 8196
3405 언어에는 언어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6-10-02 8201
3404 자연과 인간 image 13 김동렬 2015-04-14 8208
3403 존재의 두 모습 image 김동렬* 2012-10-21 8209
3402 철학은 힘이 세다 13 김동렬 2014-03-17 8209
3401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229
3400 진짜와 가짜 4 김동렬 2014-07-24 8229
3399 이상과 천상 2 김동렬 2014-02-17 8237
3398 이케아와 고릴라 image 1 김동렬 2014-04-13 8239
3397 신의 증명 2 김동렬 2018-06-17 8244
3396 법가란 무엇인가? 7 김동렬 2014-04-22 8247
3395 관측이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5-06 8254
3394 용감한 이야기를 하자 김동렬 2018-06-20 8260
3393 가장 특징적인 장소는 어디인가? 7 김동렬 2014-03-19 8270
3392 뉴턴의 의미 image 1 김동렬 2014-07-13 8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