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711 vote 0 2016.02.01 (11:15:34)

     

    “열다섯에 뜻을 세우고, 서른에 깨달았으며, 마흔에 유혹을 넘어섰고, 쉰에 하늘의 진리에 이르렀고, 예순에 세상을 받아들였고, 일흔 살에 자유로워졌다.”


    소년이 열다섯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하게 하는 본능의 영향을 받는다. 세상의 모순을 보고 뜻을 세우게 된다. 세상에 빈대붙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서른이면 세상과 맞서는 무기를 획득한다. 비로소 세상과의 싸움을 벌일 수 있다. 마흔이면 지도자가 되어 맞서고자 하는 마음을 극복한다. 무조건 상대의 반대로 도는 대칭행동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쉰이면 제자가 일을 물려받으니 내 안의 칼을 내려놓는다. 예순이면 제자가 독립하므로 믿고 맡긴다. 일흔이면 제자의 제자가 생겨나 3대다. 일이 완결되었으니 자연스러워졌다. 창업하여 회사를 운영해도 이렇게 되고, 조직을 이끌어도 이렇게 되고, 자식을 키워도 이렇게 된다. 열다섯이면 이성에 눈뜨고, 서른이면 결혼하고, 마흔이면 자식이 크고, 쉰이면 자식과 함께하고, 예순이면 자식에게 넘기고, 일흔에는 손자를 돌보며 휴식한다. 일의 한 사이클로 봐야 한다. 일은 시작에서 끝까지 다섯 단계를 거친다. 열다섯에 일을 발견하고, 서른에 일을 벌이고, 마흔에 일에 능숙해지고, 쉰에 일을 완성시키고, 예순이면 일을 내려놓는다. ‘이순’과 ‘종심소욕 불유구’는 사실상 같은 맥락이다. 제자와 손자와 부하가 일을 물려받아 스스로 키워가므로 일이 완결된다.



aDSC01523.JPG


    일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오직 일의 관점으로만 일이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의 준비와 시작과 진행과 완성과 승계로 보면 완벽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2.01 (13:40:46)

숨이 크게 트여집니다. 

이리 풀어놓은 걸 보시면 공자님이 큰 웃음 지으시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68
3901 깨달음 3 김동렬 2018-08-06 5657
3900 깨달음은 언어다 image 1 김동렬 2016-05-31 5659
3899 구조론의 출발 3 김동렬 2016-06-16 5661
3898 구조론이 더 쉽다 image 4 김동렬 2016-04-19 5663
3897 욕망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5-10-07 5665
3896 인생의 의미는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6-10 5665
3895 공자의 최종결론 김동렬 2016-07-05 5676
3894 유교는 사랑이다. image 3 김동렬 2015-12-01 5678
3893 구조론 핵심요약 image 김동렬 2015-02-16 5681
3892 사랑 99. 완전해야 눈물이 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1 5682
3891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8 김동렬 2016-02-14 5683
3890 세상의 첫 번째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10 5686
3889 에너지는 공간을 소비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8-20 5690
3888 공자선생의 정답 김동렬 2016-06-28 5693
3887 공자 17, 내용보다 형식이 중요하다 image 1 김동렬 2016-02-19 5695
3886 어리석은 깨달음 놀음 김동렬 2018-08-21 5695
3885 계속 가는 자가 승리자다 1 김동렬 2016-07-13 5697
3884 사랑 109, 중심은 어디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5-19 5698
3883 주적은 정의당이다 13 김동렬 2022-03-10 5710
» 논어 5, 공자의 깨달음 image 1 김동렬 2016-02-01 5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