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07 vote 0 2016.02.01 (10:24:30)

     

    사회에는 좀 이상한 사람들이 있다. 고집스럽게 혼자만의 길을 개척하여 가는 사람이 있다. 자연인도 있고 괴짜도 있고 나대는 사람도 있다. 그 중에 진짜와 가짜가 있다. 진짜는 실패해도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을 사회에 던지는 사람이다. 자기만의 스타일을 완성하여 인류의 상호작용 총량을 끌어올린다. 가짜는 개인적으로 잘 먹고 잘 살고자 하는 사람이다. 개인의 열등의식을 보상받기 위하여 일부러 이목을 끄는 행동을 하는 사람이다. 혹은 성공하고 혹은 실패한다. 천만관객이 들어도 본인 호주머니만 채우는 경우가 있고, 2만 관객으로 망해도 새로운 시선을 던져서 인류의 아이큐를 끌어올리는 사람이 있다. 당신은 누구인가? [생각의 정석 45회]


    김기덕도 괴짜이고 강용석도 괴짜지만 다르다. 노무현과 안철수는 다르지만 밝지 못한 사람에게는 비슷해 보인다. 가려보는 눈이 있어야 한다. 진짜는 자기의 길을 가지만 가고보니 나중에는 모두가 가는 큰 길이 된다. 가짜는 모두가 가는 큰 길에다 열심히 자기 이름을 써붙인다. 안철수는 모두가 함께 하는 회사에다 자기 이름을 붙였다. 교만한 행동이다. 그가 집필했다는 거의 모든 책에는 자기 이름이 붙어 있다. 혹은 ‘나의 생각’ 하는 식으로 '나'가 들어 있다. 히틀러의 ‘나의 투쟁’을 연상시킨다. 구조론에서 하지 말라는 소인배의 자기소개 행동이다. 소인배는 표지가 있다.




aDSC01523.JPG


    어문 데서 개고생 하지 말고 깨달음의 지름길로 갑시다. 깨달음은 수련이 아니라 복제입니다. 깨달음은 명상하는게 아니라 스타일을 개척하는 것입니다. 깨달음은 훌륭한 사람이 되는게 아니라 빛나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깨달음은 노래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노래를 부르는 것입니다. 깨달음은 시험에 합격하는 것이 아니라 패스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좋은 패스가 오면 누구든 골을 성공시킬 수 있습니다. 나쁜 패스를 받지 마세요. 부디.




[레벨:30]솔숲길

2016.02.01 (10:54:59)

[생각의 정석 45회] 보통 사람의 보통 판단은 보통 틀린다.

http://gujoron.com/xe/50310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40 사랑 75, 네오보다는 모피어스 image 1 김동렬 2016-03-16 5239
3439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2 김동렬 2016-03-16 28739
3438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787
3437 깨달음의 알파고 image 김동렬 2016-03-14 5236
3436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713
3435 사랑 72, 혼돈에서 질서로 image 1 김동렬 2016-03-11 5170
3434 사랑 71, 빽이 있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10 5238
3433 깨달음의 시험문제 image 김동렬 2016-03-09 5173
3432 사랑 70, 깨달음은 감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9 5111
3431 사랑 69, 반응에서 호응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08 5091
3430 망둥이와 꼴뚜기 image 4 김동렬 2016-03-07 6439
3429 사랑 68, 사는 방향으로 가라 image 1 김동렬 2016-03-07 5092
3428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067
3427 일은 즐거워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3-04 5761
3426 사랑 67, 온전한 하나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3-04 5009
3425 답은 만남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5076
3424 사랑 66, 집단이 행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3 4972
3423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024
3422 사랑 65, 한국인은 대접받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2 5095
3421 깨달음은 위대한 만남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3-01 5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