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62 vote 0 2016.01.30 (17:09:33)

 
    “교언영색巧言令色하여 말과 얼굴표정을 꾸미는 자는 어진 마음이 없다.”


    20여년 전 이기택과 홍사덕 등이 경주에 내려와서 보궐선거에 출마한 민주당 후보 지원유세하는 것을 본 일이 있다. 그때만 해도 꼬마민주당과 평민당이 합작한 민주당소속이었기 때문에 기대를 갖고 연설을 들었다. 특히 홍사덕이 목소리톤을 조절하여 시골 할머니들을 울리는 것을 보고 소름이 확 끼쳤다. 그의 변절을 예견했음은 물론이다. 인간이 저럴수도 있구나 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 정동영과 엄기영이 정치판에 뛰어들자 먼저 얼굴이 변하더라. 분장으로 잠시 가릴 수는 있지만 본질은 속일 수 없다. 교회 목사들의 웃는 얼굴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들은 보지 않고 반대로 내보인다. 자기 얼굴을 상대방에게 전시한다. 상대방이 원하는 표정을 지어준다. 이 방법으로 사람을 컨트롤하려 한다면 무서운 일이다. 소인배는 자기 생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이 원하는 말을 대신해주는 사람이다. ‘니들 이런거 원하지 않아?’ 하는 식이다. 군자는 역시 자기 생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의 말을 가감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사람이다. 집배원이 남의 편지에 손대지 않듯이 기교로 수식하지 않고 간명하게 말한다. 군자의 얼굴이 맑은 것은 자기 감정을 배제하고 상대방의 감정까지 무시하기 때문이다. 어린이를 얼르는 표정을 지으면 안 된다. 맹한 표정을 지어도 곤란하다. 정보는 전두엽에 저장되어 있다. 진리를 전하는 사람은 자기도 모르게 전두엽에 든 정보를 꺼내는 표정을 한다. 눈이 자기 이마를 보고 있다.


8.jpg


    군자의 눈은 이 각도여야 한다. 눈이 어디를 보고 있는지를 보면 사기를 치는지 진실을 말하는지 멋대로 지껄이는지 알 수 있다. 프롬포터를 보고 읽는 자는 들킨다.



    aDSC01523.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배태현배태현

2016.01.31 (00:51:21)

사진이 오래되어 화질도 안 좋은데 눈동자가 너무 또렷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6.01.31 (11:04:37)

목포상고 시절의 김대중 전 대통령 사진이군요
안광이 정말 맑습니다
정치가의 눈이라기 보다는 예술가 혹은 학자의 눈에 더 가깝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1.31 (17:24:20)

마음이 맑아지는 사진입니다. 
세계와 사유하는 눈빛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150
3417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8-07-03 7761
3416 의사결정학이 새로 나왔습니다. image 19 김동렬 2014-10-07 7761
3415 인간은 무엇을 선택하는가? image 3 김동렬 2014-05-15 7727
3414 관점의 문제 완결판 김동렬 2014-07-16 7727
3413 세상은 에너지다 image 1 김동렬 2014-05-08 7723
3412 이야기의 5단계 3 김동렬 2014-09-22 7721
3411 구조론적 사고의 출발점 김동렬* 2012-10-21 7710
3410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2 김동렬 2018-07-12 7703
3409 지퍼구조론 image 9 김동렬 2014-06-04 7698
3408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4-04-09 7675
3407 세상의 모형 3 김동렬 2014-03-02 7657
3406 관점에서 주체와 대상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4-06-03 7656
3405 나쁜 신의 입장 5 김동렬 2018-07-23 7655
3404 먼저 자기 자신과 화해하라 image 1 김동렬 2016-08-24 7648
3403 자기소개를 해야할 때 1 김동렬 2014-07-11 7648
3402 세가지 깨달음 4 김동렬 2014-06-09 7647
3401 첫 번째 패는 무조건 바꿔라 image 2 김동렬 2014-10-10 7636
3400 구조론이란 무엇인가(수정) 김동렬 2007-06-14 7635
3399 깨달음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4-04-29 7631
3398 인간은 두 번 승부한다 image 4 김동렬 2014-11-27 7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