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617 vote 0 2016.01.29 (10:51:15)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먼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 하지 않는 것이 바로 군자가 아니겠는가?”


    배움은 진리와의 만남이다. 만나면 즐겁다. 고흐는 비록 한 점 밖에 팔지 못했으나 단숨에 그려낸 700점의 그림을 만나서 즐겁고, 이상은 폐병으로 요절하였으나 짧은 기간에 2000편의 시를 쓰면서 즐거웠고, 소로는 책을 몇권 밖에 팔지 못했으나 월든의 호숫가를 만나서 즐겁다.


    이미 즐거운데 따로 더 구할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군자는 일을 벌이는 사람이다. 일은 기승전결로 연결되어 간다. 타인의 평가는 결말에 이르러 얻어진다. 군자의 일은 일천년 단위의 일이므로 결말까지 신경쓸 수 없다. 일을 벌이는데 성공하면 기쁘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논어의 첫 머리에 나오는 이 세 문장을 따로 떼어내서 풀이하면 안 된다. 전체가 한 편의 시詩를 이루기 때문이다. 고시조와 비슷하다. 초장, 중장, 종장이다. 배움은 개인의 영역이고 벗은 배운 사람간의 사귐이다. 여기서 대칭을 발견해야 한다. 나의 기쁨이 다른 사람의 기쁨으로 전염된다. 그런데 이렇게 대칭을 벌리면 둘로 나눠져서 불안하다. 대칭의 불안정을 봉합하는 방법은 호응이다.


    보이지 않는 누군가의 부름에 응답하는 것으로 글을 마친다. 고시조의 초장은 아이디어를 던지고, 중장은 대칭시켜 간격을 벌리며, 종장은 호응하여 보이지 않는 누군가의 부름에 응답하는 것으로 끝맺는 형식이다.


    필자의 글쓰기 공식도 고시조와 같다. 대칭으로 벌리고 호응으로 닫아준다. 그러므로 필자는 보통 석줄씩 끊어주게 된다. 사유의 형식이 있다. 그냥 머리에 힘 주고 생각하는게 아니라 대칭을 전개시켜 공간을 벌리고 인과를 시간에서 호응시켜 상부구조를 발견한다. 그럴 때 전율할듯한 기쁨이 있다.



aDSC01523.JPG


    생각은 그냥 하는게 아니라 수학문제처럼 공식에 대입하여 낱낱이 풀어내는 것입니다. 명상한다면서 그냥 눈감고 앉아있으면 잠이 올 뿐입니다. 대칭과 호응으로 베틀의 씨줄날줄을 이루어야 합니다. 패턴이 있으므로 옛 시인들은 앉은 자리에서 수십편의 시를 쓸 수 있었습니다. 이상은 몇 년 사이에 2천 편의 시를 쓰고 더하여 많은 수필과 단편과 중편을 썼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1.29 (18:07:17)

오늘 들은 팟캐스트 "나는 프로그래머다"에 서울대 컴공 교수님의 신간에 고은의 시가
인용되어 있다 합니다.  
"진정코 이 세상이란 몇 
천 년이나 걸려야집 한채 지을수 있음이여"



[레벨:5]상무공단의아침

2016.01.30 (09:19:47)

[레벨:3]낙오자

2016.01.30 (11:13:37)

<유가의 열락정신>이라는 책을 누군가 썼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8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42
2955 방향성과 관점 image 김동렬 2013-08-10 10872
2954 반미인척 하는 미국광신도들이 문제다 김동렬 2006-04-10 10875
2953 창의 똑 이렇게 하라 image 5 김동렬 2011-12-02 10879
2952 디워 봤다.. 이송희일 때문에 김동렬 2007-08-05 10902
2951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0902
2950 고쳐쓴 학문의 역사 2 김동렬 2006-01-21 10904
2949 누가 우리편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3-14 10909
2948 갈 것인가 말 것인가? image 김동렬 2012-03-12 10914
2947 질의 마인드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2-15 10917
2946 구조론의 깨달음 image 3 김동렬 2012-04-20 10922
2945 생물의 진화와 사회의 진보 image 9 김동렬 2011-11-21 10933
2944 징기스칸은 마초인가 찌질이인가? 김동렬 2014-05-15 10944
2943 강신주의 이발소그림 7 김동렬 2014-01-13 10954
2942 왕의 남자 그리고 태풍 김동렬 2006-01-11 10960
2941 진리의 성질 image 1 김동렬 2013-08-29 10968
2940 조정래 황석영 박경리(수정판) 김동렬 2007-01-03 10969
2939 근태 동영은 정계은퇴 하라! 김동렬 2007-01-17 10969
2938 창의의 구조 1 김동렬 2008-05-01 10972
2937 어른되기 image 6 김동렬 2013-05-27 10972
2936 긴장타자 긴장타! 김동렬 2007-07-15 10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