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20 vote 0 2016.01.28 (11:08:30)

     

    달리는 자동차라도 일정한 속도를 얻어야 부드럽게 자신을 컨트롤할 수 있다. 나무는 쑥쑥 자라는 상태가 가장 안정된 상태다. 동물은 가쁘게 호흡하는 상태가 가장 안정된 상태다. 자전거는 페달을 밟아 달리는 상태가 도리어 안정된 상태다. 돈은 시장에서 돌고 있는 상태가 안정된 상태이며 금고에 잠겨있는 돈은 죽은 돈이다. 그것이 동적균형이다. 달리면 살고 멈추면 죽는다. 진보하면 살고 보수하면 죽는다. 중용은 가만이 앉아서 폼만 잡는 중용이 아니라 열정적으로 움직이는 중용이다. 살아있어야 진짜다. [생각의 정석 42회]


    존재는 일이다. 일은 일한다. 안에서 일하면 조용하고, 밖에서 일하면 시끄럽다. 안에서 일하는 것은 밖에서 일하기 앞서 준비작업이고, 밖에서 일하는 것은 안에서 일하기 앞서 사전준비다. 안에서 조립된 자동차는 밖으로 나가서 달린다. 밖에서 조달된 자재는 안에서 조립된다. 안과 밖의 상호작용이 존재의 진짜 모습이다. 그러므로 나의 일부는 나에게서 멀리까지 파견나가 있다. 내가 눈으로 100킬로 밖을 내다본다면 100킬로까지 나는 확장된다. 1만 년 후의 먼 미래까지 내다본다면 1만년 까지 나는 확장된다. 부단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나를 키워갈 일이다.


aDSC01523.JPG


    비행기는 이륙보다 착륙이 위태롭습니다. 이륙은 동력원이 내 안에서 있으므로 컨트롤이 가능하지만, 착륙은 동력원이 내 바깥에 있어서 안전한 착륙이 나의 의지가 아니라 활주로에 부는 바람에 달렸습니다. 자연스러운 상태는 내 안에 동력을 갖추고 살짝살짝 움직여주는 상태입니다. 적당한 진보는 안정되고 보수는 언제라도 위태롭습니다. 소프트랜딩은 원래 쉽지 않으나 부드러운 이륙은 뜻밖에 쉽습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28 (11:28:27)

[생각의 정석 42] 게임은 상호작용이다.

http://gujoron.com/xe/495261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6.01.28 (14:14:48)

비행기는 말씀대로 착륙할때도 안전을 위해 살짝 속도를 높인다고 하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947
3466 조절되는 것이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3 5083
3465 아름다워야 완전하다 image 김동렬 2016-04-02 4998
3464 사랑 88, 관측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4-01 4884
3463 의사결정원리 image 3 김동렬 2016-03-31 5848
3462 사랑 87, 역사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6-03-31 4838
3461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119
3460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3-29 5235
3459 사랑 85, 평등에서 평등으로 image 1 김동렬 2016-03-29 5005
3458 완전하면 예측할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03-28 4931
3457 사랑 83, 내 안에 내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3-28 4955
3456 조절장치가 있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16-03-26 5015
3455 깨달음 5분 요약 image 김동렬 2016-03-25 5160
3454 사랑 82, 강자의 자유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3-25 5746
3453 니체 쇼펜하우어 공자 image 김동렬 2016-03-24 5633
3452 사랑 81, 나의 바깥과 사귀어두라 image 1 김동렬 2016-03-24 5069
3451 공자 대 쇼펜하우어 image 2 김동렬 2016-03-23 5414
3450 사랑 80, 천천히 가야 오래간다 image 2 김동렬 2016-03-23 5303
3449 종교인가 미학인가? image 김동렬 2016-03-22 5856
3448 사랑 79, 진정성은 프로에게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3-22 5172
3447 공자와 니체 image 1 김동렬 2016-03-21 5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