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물은 온도에 따라 상태 변화를 가지잖아요.
지금은, 눈에 적용시켜 보려고 합니다.

전기는 파동으로 해석이 가능하거든요 (Electromagnetic Wave)
전기가 물을 통과할때 생기는 파동의 간섭효과를
추적하면, 눈의 양과 밀도를 구할 수 있다는게 아이디어 입니다.
물론 제 아이디어는 아니고 ㅠㅠ

핀란드 전기공학자의 아이디어인데요...ㅋ

...음...서설이 길었네여...

전기 에너지라고들 이야기하는 개념은 구조론에서
어떻게 설명되는지 듣고 싶습니다. 일전에 통합된 에너지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걸 들었습니다만,
전기공학만큼 우리 생활과 밀접한게 없는 만큼.
구조론은 전기 에너지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듣고 싶네요 ^^

좋은 하루 되세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42
2033 즐거움이 없는 베품이랄까? 3 프로메테우스 2006-02-27 7778
2032 조선8도 지역정서 지여 2011-02-26 7761
2031 의식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11-18 7759
2030 복잡한 인간. 4 아제 2010-08-16 7714
2029 사금 캐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3-11-28 7704
2028 여자가 오래 사는 이유 3 김동렬 2010-10-26 7662
2027 태초의 비밀. 아제 2010-08-07 7656
2026 질문 - 이 사람의 잘못은? image 16 김동렬 2013-07-03 7567
2025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66
2024 엄지손가락 1 양을 쫓는 모험 2009-11-17 7554
2023 대칭에 의한 비대칭의 예 image 2 김동렬 2013-06-24 7529
2022 진.선.미.주.성에 대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7 아란도 2010-08-03 7515
2021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512
2020 저장강박증? image 1 김동렬 2011-09-02 7482
2019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image 33 김동렬 2014-01-15 7480
2018 인류의 기원 김동렬 2013-05-15 7469
2017 진화와 인간.. 아제 2010-08-31 7455
2016 원인과 결과 그리고 판단. image 3 아란도 2010-08-10 7442
2015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22
2014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