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물은 온도에 따라 상태 변화를 가지잖아요.
지금은, 눈에 적용시켜 보려고 합니다.

전기는 파동으로 해석이 가능하거든요 (Electromagnetic Wave)
전기가 물을 통과할때 생기는 파동의 간섭효과를
추적하면, 눈의 양과 밀도를 구할 수 있다는게 아이디어 입니다.
물론 제 아이디어는 아니고 ㅠㅠ

핀란드 전기공학자의 아이디어인데요...ㅋ

...음...서설이 길었네여...

전기 에너지라고들 이야기하는 개념은 구조론에서
어떻게 설명되는지 듣고 싶습니다. 일전에 통합된 에너지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걸 들었습니다만,
전기공학만큼 우리 생활과 밀접한게 없는 만큼.
구조론은 전기 에너지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듣고 싶네요 ^^

좋은 하루 되세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03
287 중국은 왜 대포와 시계를 만들지 못했나? 2 김동렬 2013-08-24 6106
286 재미있는 무한동력 5 김동렬 2014-06-23 6119
285 문제 하나 더 '더 헌트' image 9 김동렬 2013-02-26 6123
284 돔지붕의 문제 image 8 김동렬 2013-01-21 6130
283 빈곤층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13 김동렬 2013-10-17 6135
282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155
281 성 노동자 어떻게 바라볼까? 7 김동렬 2013-03-25 6162
280 여자의 오해 image 9 김동렬 2014-11-19 6171
279 구조론으로 본 역사관 1. 현재주의 vs 역사주의 3 오세 2012-01-26 6182
278 구조론적인 사고법 3 김동렬 2009-07-29 6183
277 벌인척 하는 벌레 image 4 김동렬 2012-04-16 6196
276 구조를 보라, 얼마나 할까 ░담 2010-06-04 6197
275 최상급의 칭찬은 인간의 존엄에 대한 모독이다(마음의 구조 리뷰) 5 오세 2011-02-21 6210
274 토요일 구조론 연구모임 공지입니다. image 3 김동렬 2010-05-28 6214
273 사람무늬 그리고 구조론., 5 오세 2010-08-26 6225
272 노무현은 아직도 할 일이 많다. 4 양을 쫓는 모험 2009-04-30 6226
271 책. 3 아제 2010-07-31 6235
270 맞다고 생각하시오? 11 김동렬 2013-07-31 6240
269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3 6256
268 동이 트다? 2 김동렬 2015-08-15 6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