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71 vote 0 2016.01.23 (13:04:58)

http://photo.gbp.co.kr/Board/view.php?id=photo_text&page=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it&desc=asc&no=135


락에이지님의 시사리트윗글 http://gujoron.com/xe/664662 에서 표창원이 말한 회사후소繪事後素.


역사공부를 게을리 한 주자가 망쳐놨군요.

흰색이 먼저 온다는 의미가 아니라 장식이 나중에 온다는 의미입니다.


예로 시작하는게 아니라 예로 끝낸다는 뜻.

이렇게 보면 중대한 차이가 있습니다.


구조론으로 보면 일의 순서는 복제, 조합, 연출입니다.

복제는 주자의 입장과 같이 균일하게 판을 고르는 것입니다.


복제는 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합은 義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출은 禮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복제는 출발선상에서 너와 내가 같아지는 것

의는 게임에 들어가서 너와 내가 한 팀을 이루고 팀플레이를 하는 것.

예는 미학적인 연출로 볼 수 있습니다.


구조론은 돈오스타일을 밀고 있습니다.

활력있는 만남으로 흐름을 만들어내고 결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8887.jpg


돈오스타일의 좋은 연출


64423.jpg


억지연출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2016.01.23 (18:02:47)

바탕소 문제라고 하셔서 저는 동렬님책을 출판하는 바탕소에 무슨 문제가 생긴줄 알았습니다.
그럼 출판사 바탕소 이름도 회사후소와 관련이 있는거였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4]꼬치가리

2016.01.25 (10:13:48)

같은 생각을 했구랴.

우리 함께 낚였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1.25 (20:50:14)

아무님이 안 낚여서 실패.

바탕소라는 이름이 회사후소에서 나온건 맞을 겁니다.


예전에 아무님에게 들은 적이 있어서.

정확한 내막은 저도 모르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6.01.26 (22:46:10)

공자가 말한 회사후소의 素는 구조론의 질 개념으로 이해하면 딱 떨어집니다.

당시는 표현할 언어가 없어서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좀 아는 사람들의 유행처럼 삼았다는데,

詩經은 추상적 개념에 대한 유비법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공자는 그러한 표현법을 몰두해서 연구하다보니 시경을 편찬했겠죠.


하여간 그림을 좀 그려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바탕素을 마련하는 일이 그리 녹록지는 않습니다.

작품 제작의 물리적 환경을 세팅하는 일이 그리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캔바스를 짜기 위해 틀을 만들고 천을 고르고 바닥을 고르는 일, 물감을 마련하고 등등 모두 素에 해당하는 작업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 좋은 천을 구하고 쓸만한 물감을 구하는 행위 자체가 실은 대충 넘길 수도 타협할 수도 없는 그런 바탕 작업입니다. 요즘은 돈을 주고 캔바스나 물감을 사서 쓰면 되지만 이것도 자신에게 맞는 캔바스와 물감 제품을 고르는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는 겁니다.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면에서도, 흰 캔바스를 대면하고 있을 때의 그 상태가 딱 바탕素입니다. 작품에 대한 행위가 표출되지 않은, 아직 한 획을 긋지 않은, 무엇이 나올 지 알 수 없는 그 순수한 기대와 스트레스로 꽉 찬 그 상태가 바로 素입니다.

실제로 작품을 시작할 때의 그 압박은 여간 심하지 않은데, 그 압박으로부터 쏟아져나와야 제대로 작품이 나오는 거죠.

한 획을 그으면 거기서 작품이 시작된 것이고, 그 시작되기 전의 순수한 가능성의 상태가 바로 素입니다.


그래서 石濤는 그의 화론 첫 구절로 太樸不散이라고 했죠. 그릇이 만들어지기 이전의 원 재료인 통나무 그 자체가 바로 素인 것입니다.


그런 뜻에서 바탕소는 문제가 많아요.

하여간 바탕소는 그 바탕소랍니다. ㅋ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025
1585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4723
1584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13
1583 조형창작교육 개괄 3 ahmoo 2009-09-08 4712
1582 한겨레 또 이론을 바꾸다 1 김동렬 2012-11-20 4709
1581 구글의 대승전략, 네이버의 소승전략 3 김동렬 2014-01-28 4706
1580 중국무술은 없다. 5 김동렬 2015-03-21 4705
1579 존엄 OS 담 |/_ 2013-06-30 4704
1578 대중음악과 발성의 구조 SimplyRed 2023-03-17 4695
1577 바둑 구조론 김동렬 2016-03-08 4694
1576 스타일이 스펙을 이긴다. image 5 냥모 2013-03-11 4692
1575 진화의 정점은 백인? 김동렬 2017-02-12 4691
1574 빙ai에게 구조론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image 1 오민규 2023-03-15 4690
1573 게세르칸 - 거서간? 김동렬 2015-03-23 4690
1572 파일업로드 테스트 image 1 김동렬 2009-01-14 4690
1571 여자는 왜 꽃을 좋아하는가? 2 냥모 2013-04-28 4689
1570 애니메이션 흥행순위 image 7 김동렬 2013-10-31 4688
1569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688
1568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 원리 6 이기준 2009-07-21 4684
1567 일상에 대한 단상 12 참삶 2009-05-15 4683
1566 생각의 정석 5회 1 오세 2013-07-25 4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