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31 vote 0 2016.01.22 (16:07:04)

     

    깨달음은 1인칭이다. 타자화 될 수 없고 대상화 될 수 없다. 강건너 불보듯 할 수 없다. 밖에서 담너머로 바라볼 수 없다. 나와 일체가 되어야 한다. 기수는 말을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운전자는 자동차를 자신의 신체로 여겨야 한다. 우리가 진리라는 자동차, 역사라는 말, 자연이라는 한 배를 탔을 때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다. 발전하는 기업, 팽창하는 조직, 불어나는 식구, 사랑하는 사람, 팽팽한 긴장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것은 1인칭이 된다. 자연은 에너지에 의해, 사회는 권한에 의해, 일은 연동에 의해, 마음은 존엄에 의해 1인칭이 된다. 그러므로 분별하여 아는 지식으로는 부족하고 운전자가 차를 다루듯이, 기수가 말을 다루듯이 살살 꼬드겨 다룰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깨달음의 세계다. [생각의 정석 38회]


    깨달음은 일의 원리에 태운다. 일은 1인칭이다. 기승전결로 일을 연결하며 원인과 결과를 호응시켜 1인칭의 비대칭으로 대칭구조의 이분법적 분리를 극복하고, 지식의 분별를 극복한다. 1인칭은 나와 구분되는 남이 아니라는 거다. 내가 손으로 주물러서 다루는 내 행위의 대상이 아니라는 거다. 내가 내 몸을 만지듯이 사랑하는 사람은, 운전하는 사람은, 말을 탄 기수는, 한 배를 탄 사람은, 진리와 자연과 역사와 진보와 문명을 에너지로 일원화 시키고, 권한으로 일원화 시키고, 기승전결로 일원화 시키고, 존엄으로 일원화시켜야 한다. 타자로 여기고 대상화 할 때 말이 눈치챈다. 그럴 때 말은 서투른 기수를 낙마시킨다.



   aDSC01523.JPG


    2인칭이면 이미 주도권 내주고 지고 들어가는 겁니다. 곧 죽어도 내자식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안철수도 내 자식, 박근혜도 내자식, 김정은도 내자식, 아베도 내자식이라고 여겨야 합당한 전략이 나와줍니다. 마음으로 이겨야 실제로도 이깁니다. 기승전결의 기에 서서 승과 전과 결을 거느려야 합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22 (17:02:28)

[생각의 정석 38] 지방선거 총정리, 야당의 패배와 야권의 승리

http://gujoron.com/xe/48452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41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20
4210 유시민이 어때서? 김동렬 2007-05-21 11882
4209 천하인의 기개를 배우라 image 2 김동렬 2018-04-08 11881
4208 도가도 비상도의 오류 image 7 김동렬 2013-05-29 11880
4207 창작 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06 11879
4206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 image 3 김동렬 2013-05-03 11877
4205 탑을 잡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1-11-18 11875
4204 이데아의 의미 image 4 김동렬 2018-04-20 11861
4203 구조론은 맞는 말이다 image 5 김동렬 2018-01-14 11858
4202 똥개는 무죄 인간이 유죄 김동렬 2006-05-03 11852
4201 창의하기의 첫번째 원칙 image 1 김동렬 2011-12-05 11849
4200 왜 나는 분노하는가? 김동렬 2006-05-14 11846
4199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840
4198 진화의 완성 김동렬 2007-02-08 11839
4197 탑 포지션을 잡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1-12-29 11831
4196 전여옥 현상에 대하여 김동렬 2006-02-26 11818
4195 시간을 조직하라 image 6 김동렬 2014-02-13 11814
4194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에 주목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0-29 11806
4193 신은 이렇게 말했다 image 2 김동렬 2018-04-07 11806
4192 그림으로 이해하기 image 2 김동렬 2012-12-18 11801
4191 통제가능성이 희망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1-18 1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