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read 5930 vote 0 2006.03.07 (19:56:13)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저는 미술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오래동안 선생님의 글을 읽어 오면서 많은 것을 얻었고 또 많은 것을 느꼈고 제 나름데로의 방법으로 전파해 왔습니다.

다름이 아닌 양식에 관한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오래전 선생님의 글을 읽노라면 구체적인 의미에 대한 언급과 그로인한 파상을 표현하셨는데 지금은 조금 다른 느낌이랄까요?
뭐랄까?
커다란 덩어리를 잘게 나눈듣한 느낌을 받곤합니다.

그래서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저합니다.

인간들이 만들어냈고 또 만들어간 그 수많은 양식론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모래바람처럼 가벼운 저의 질문의로 인해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길 바라며...  


  

김동렬

2006.03.07 (20:35:48)

책을 몇 권은 써야 할 방대한 질문이군요. 양식은 구조론적으로 결정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복잡해서 간단히 설명하기 어렵고 여기서 짧게 말할 수 있는 측면만 말한다면 양식은 사실주의와 인상주의가 있을 뿐입니다. 선사실 후인상입니다.

즉 어떤 새로운 소재가 등장하면 반드시 그 소재의 성질을 극한으로 추구하는 사실주의가 등장하게 되며 그 다음에는 그 스타일을 인간 자신에 내면화 할 수 있는 인상주의가 등장하게 됩니다.

이 순서가 거꾸로 될 경우 사실주의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때마다 인상주의가 달라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소재를 기준으로 사실주의 다음에 인상주의로 갑니다.

소재의 등장>사실주의 출현>인상주의로 대체>신소재의 등장>신사실주의 출현>신인상주의 등장>신소재의 등장으로 반복되는 순환구조를 갖는 거죠. 더 이야기 하자면 한이 없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92 구조론 카페에 안들어가져요 2 고마버 2006-05-06 5915
391 회원가입했습니다 2 nirvana 2006-06-23 5926
390 개 입양해줄 분 찾소 2 곱슬이 2009-10-04 5928
389 잔망스럽다의 뜻은? 아제 2017-11-23 5929
» 양식론... 1 소나무 2006-03-07 5930
387 오승환의 비결 image 1 김동렬 2011-09-15 5937
386 반갑습니다. 구도자 2006-06-04 5944
385 세력전략(r전략)과 생존전략(k전략) 5 똘추 2015-06-10 5969
384 이 그림에 맞는 문구는? image 2 노매드 2010-05-14 5974
383 동작과 언어에 대한 강론에 관해 질문 2 언어쟁이 2007-02-14 5979
382 새시대를 여는 구조론 번개 image 5 ahmoo 2012-12-19 5982
381 어느 독일가정의 크리스마스이브(하일리게아벤트) image 20 풀꽃 2009-12-25 5983
380 김동렬/ 구조론 창시자 image 6 일벌 2013-01-10 5984
379 글쓰기의 어려움 1 안티킴 2006-07-22 5991
378 조선독립만세 3 김동렬 2011-03-01 5991
377 동렬님께. 토탈싸커 2006-03-04 6008
376 격려... 아름드리 2006-06-21 6012
375 첫 인사 2 JAY 2006-12-20 6033
374 2차대전 이탈리아 군대 13 pinkwalking 2014-11-30 6038
373 구조론 학습과정과 귀납법 4 해저생물 2013-04-09 6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