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798 vote 0 2016.01.20 (14:50:50)

     

    어떤 사람이 피아노를 쳤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겠는가? 어떤 의도나 목적, 혹은 신념 때문이 아니다. 그런 잡다한 이유들은 다른 사람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혹은 자기 자신을 납득시키기 위해서 꾸며낸 바 연출된 것이다. 진짜는 따로 있다. 첫째 피아노를 칠 줄 알기 때문이다. 둘째 피아노가 고장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셋째 그 피아노가 거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피아노를 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첫째 피아노가 없기 때문이고, 둘째 피아노 줄이 늘어져 좋은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이고, 셋째 피아노를 연주할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피아노를 주고, 조율해주고, 연주하는 법을 알려주면 누구라도 피아노를 연주한다. 세상은 그 자체로 커다란 하나의 악기다. 인간 역시 하나의 악기다. 처음에는 인간이 세상을 연주하지만 다음에는 세상이 인간을 연주한다.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세상이 인간을 어떻게 했는지가 중요하다. [생각의 정석 36회]


    피아노를 만나면 피아노를 친다. 피아노를 만났는지가 중요하다. 제대로 만나야 제대로 연주한다. 인간이라는 악기가 좋은 환경을 만나면 좋은 소리를 낸다. 나쁜 환경을 만나면 나쁜 소리를 낸다. 우리는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연출하는가에만 관심이 있고, 반대로 세상이 인간을 어떻게 연출하는가에는 관심이 없다. 깨달음은 세상이 인간이라는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다. 좋은 소리를 토해내는 좋은 악기라야 한다. 좋은 만남으로 가능하다. 소리를 토해내지 못하는 깨달음은 가짜다.



aDSC01523.JPG


    세 사람이 같은 방향을 쳐다보고 있으면 지나가는 사람이 모두 고개를 들어 그 방향을 바라본다고 합니다. 소크라테스가 보던 방향을 플라톤이 보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보자 모든 사람이 그 쪽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공자가 보던 방향을 맹자와 율곡이 보자 모두 그 방향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일찌기 석가와 혜능이 그 방향을 보았고 지금 내가 그 방향을 보고 있고 이제 여기에 한 명만 더 붙으면 됩니다. 그 때는 세상의 모든 사람이 깨닫게 됩니다. 세명이 있으면 축과 대칭이 만들어져 판단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20 (19:51:22)

[생각의 정석 36회] 정몽즙, 무슨 맛일까?

http://gujoron.com/xe/47704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48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2983
4248 가족과 부족사이 1 김동렬 2018-10-26 3723
4247 의리가 있어야 산다 1 김동렬 2018-10-25 3402
4246 의리는 결속이다 1 김동렬 2018-10-25 3366
4245 사기꾼의 딜레마 1 김동렬 2018-10-25 3831
4244 하거나 당하거나 1 김동렬 2018-10-24 3738
4243 정의가 아니라 균형이다. 1 김동렬 2018-10-21 3833
4242 이익균형 1 김동렬 2018-10-18 4467
4241 인간은 의리의 동물이다 4 김동렬 2018-10-16 4382
4240 율곡은 맞고 퇴계는 틀리다 1 김동렬 2018-10-16 3746
4239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3 김동렬 2018-10-15 4200
4238 의리없는 자들은 쳐죽여야 1 김동렬 2018-10-14 4116
4237 안시성과 구조론 1 김동렬 2018-10-12 3587
4236 구조론을 치는 것은 구조론뿐이다 3 김동렬 2018-10-11 3363
4235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8-10-10 4459
4234 철학은 언어로부터 시작된다. 2 김동렬 2018-10-10 3280
4233 철학하지 않으면 죽는다 1 김동렬 2018-10-05 4320
4232 철학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8-10-04 4314
4231 왜 소수가 중요한가? image 3 김동렬 2018-10-02 4480
4230 직관적 사유의 훈련 image 6 김동렬 2018-10-01 4524
4229 욕망을 이겨야 이긴다 2 김동렬 2018-09-28 4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