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34 vote 0 2016.01.19 (11:27:36)

     

    불만없이 진보없다. 이명박근혜의 세상에 유감없다는 사람들도 더러는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드라마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 기껏해야 지나가는 행인 1을 담당하는 엑스트라가 될 뿐이다. 주인공이라면 화가 나 있어야 한다. 성난 사람들이 현재를 부정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법이다. 불만에 찬 팽팽하게 긴장된 공기 속의 어딘가에서 짠 하고 진짜배기가 나타나줄 것만 같다. 그리고 진짜가 나타난다. 까뮈의 이방인이 나타나고, 이상의 날개가 퍼덕이고, 고흐와 세잔이 출몰하고, 서태지의 노래와 김기덕의 영화가 뜬다. 그리고 노무현이 나타난다. 김기덕의 영화나 이상의 소설이나 세잔의 그림이나 서태지의 노래나 노무현의 정치를 세세하게 살펴보고 일일이 코멘트를 달아줄 필요는 없다. 그것은 소인배의 행동이다. 중요한건 우리 편이라는 사실이다. 시대의 불만이 지구를 흔들어 그들을 무대 위로 초대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불만을 가진 자가 우리편이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왜냐하면 이 무대의 진짜 주인공은 바로 당신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생각의 정석 35회]


    존재는 사건이다. 사건은 일이다. 불만이 없는 사람은 일이 없는 사람이다. 맡은임무가 없는 사람이다. 생명은 사건의 호흡이다. 불만없는 사람은 숨 쉬지 않는 사람이다. 그들은 호흡하지 않는 사람이다. 세상은 타오르는 불길이다. 불만없는 사람은 불태울 연료가 고갈된 사람이다. 에너지가 중요하다. 세세하게 토달고 따지고 자시고 할 필요가 없다.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와서 큰 에너지의 흐름을 만들면 우리는 묻어가야 한다. 과연 지구가 살아줄만한 별이냐가 중요하다. 지구가 우리 편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무인도에서 백년 만에 사람을 만났다면 무작정 기쁜 거다. 상대가 누구인지 알아볼 필요도 없이 얼싸안고 덩실덩실 춤을 출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편이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과 이 별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만족한다. 천년의 기다림, 짜릿한 만남, 그리고 전율! 더 무엇이 필요한가? 불만을 가지고 세상을 흔들어 다들 엉덩이가 들썩거리게 만들어서 이 메마른 대지에 팽팽하게 긴장된 공기를 공급하는 우리 편이면 된다. 기어이 천둥이 울리고 비는 억수같이 쏟아진다. 



    20160118_202441.jpg


    깨달음은 만남입니다. 돈오는 만남입니다. 만나되 뻘로 만나지 말고 대가리가 깨지도록 오지게 만나야 합니다. 북과 북채가 만나 소리가 나도록 우당탕퉁탕 만나야 합니다. 세상이 시끄러워져야 합니다. 그럴 때가 주인공이 등장할 타이밍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19 (12:44:10)

[생각의 정석 35회] 세월호, 막장의 공식

http://gujoron.com/xe/47353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420 리얼 액션을 해보자. 5 김동렬 2018-07-08 7999
3419 구조론 한 큐에 끝내기 image 11 김동렬 2016-08-22 8012
3418 김기덕 감독 image 김동렬* 2012-10-21 8016
3417 인간 비합리성 기원론 image 3 김동렬 2014-05-18 8022
3416 나의 입장 요약 2 김동렬 2018-07-02 8027
3415 방향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028
3414 존재의 두 모습 image 김동렬* 2012-10-21 8037
3413 상부구조를 일으켜 세우라 image 김동렬* 2012-10-21 8037
3412 왜 사느냐 질문하기 4 김동렬 2014-07-18 8037
3411 대칭을 훈련하라 image 김동렬 2015-08-06 8040
3410 역으로 찌르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4-07-29 8043
3409 존재규정의 문제 image 김동렬* 2012-10-21 8047
3408 간화선의 멸망 김동렬 2018-07-16 8047
3407 족보가 흥해야 산다. 2 김동렬 2018-07-13 8050
3406 1인칭 관점의 예 3 김동렬 2014-08-08 8056
3405 깨달음의 기쁨 6 김동렬 2014-06-09 8069
3404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073
3403 자연과 인간 image 13 김동렬 2015-04-14 8078
3402 명필은 붓을 고친다 4 김동렬 2014-05-31 8087
3401 관점의 설정 1 김동렬 2014-02-26 8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