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67 vote 0 2016.01.19 (11:27:36)

     

    불만없이 진보없다. 이명박근혜의 세상에 유감없다는 사람들도 더러는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드라마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 기껏해야 지나가는 행인 1을 담당하는 엑스트라가 될 뿐이다. 주인공이라면 화가 나 있어야 한다. 성난 사람들이 현재를 부정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법이다. 불만에 찬 팽팽하게 긴장된 공기 속의 어딘가에서 짠 하고 진짜배기가 나타나줄 것만 같다. 그리고 진짜가 나타난다. 까뮈의 이방인이 나타나고, 이상의 날개가 퍼덕이고, 고흐와 세잔이 출몰하고, 서태지의 노래와 김기덕의 영화가 뜬다. 그리고 노무현이 나타난다. 김기덕의 영화나 이상의 소설이나 세잔의 그림이나 서태지의 노래나 노무현의 정치를 세세하게 살펴보고 일일이 코멘트를 달아줄 필요는 없다. 그것은 소인배의 행동이다. 중요한건 우리 편이라는 사실이다. 시대의 불만이 지구를 흔들어 그들을 무대 위로 초대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불만을 가진 자가 우리편이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왜냐하면 이 무대의 진짜 주인공은 바로 당신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생각의 정석 35회]


    존재는 사건이다. 사건은 일이다. 불만이 없는 사람은 일이 없는 사람이다. 맡은임무가 없는 사람이다. 생명은 사건의 호흡이다. 불만없는 사람은 숨 쉬지 않는 사람이다. 그들은 호흡하지 않는 사람이다. 세상은 타오르는 불길이다. 불만없는 사람은 불태울 연료가 고갈된 사람이다. 에너지가 중요하다. 세세하게 토달고 따지고 자시고 할 필요가 없다.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와서 큰 에너지의 흐름을 만들면 우리는 묻어가야 한다. 과연 지구가 살아줄만한 별이냐가 중요하다. 지구가 우리 편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무인도에서 백년 만에 사람을 만났다면 무작정 기쁜 거다. 상대가 누구인지 알아볼 필요도 없이 얼싸안고 덩실덩실 춤을 출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편이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과 이 별을 공유한다는 사실에 만족한다. 천년의 기다림, 짜릿한 만남, 그리고 전율! 더 무엇이 필요한가? 불만을 가지고 세상을 흔들어 다들 엉덩이가 들썩거리게 만들어서 이 메마른 대지에 팽팽하게 긴장된 공기를 공급하는 우리 편이면 된다. 기어이 천둥이 울리고 비는 억수같이 쏟아진다. 



    20160118_202441.jpg


    깨달음은 만남입니다. 돈오는 만남입니다. 만나되 뻘로 만나지 말고 대가리가 깨지도록 오지게 만나야 합니다. 북과 북채가 만나 소리가 나도록 우당탕퉁탕 만나야 합니다. 세상이 시끄러워져야 합니다. 그럴 때가 주인공이 등장할 타이밍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19 (12:44:10)

[생각의 정석 35회] 세월호, 막장의 공식

http://gujoron.com/xe/47353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50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307
4211 오생만물 image 1 김동렬 2015-11-06 4918
4210 일본몰락 국힘추락 4 김동렬 2021-08-10 4919
4209 사랑의 정석 9회 image 4 김동렬 2015-12-10 4921
4208 세상은 에너지의 우위로 작동한다 image 김동렬 2015-11-08 4922
4207 척력은 대칭이다 1 김동렬 2019-04-12 4924
4206 주체의 관점을 획득하라 1 김동렬 2019-06-26 4928
4205 사랑의 정석 7회 1 김동렬 2015-12-08 4932
4204 사랑의 정석 20회 1 김동렬 2015-12-28 4932
4203 사랑의 정석 38, 깨달음은 1인칭 image 1 김동렬 2016-01-22 4932
4202 사랑 90, 사실주의가 답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4-05 4934
4201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935
4200 공자 14, 창세기의 관점 image 1 김동렬 2016-02-12 4935
4199 수렴과 확산 4 김동렬 2019-08-27 4936
4198 깨달음은 그림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1-25 4938
4197 큰 것에서 작은 것이 나왔다 image 김동렬 2015-12-01 4942
4196 사유의 여러가지 모형들 image 김동렬 2015-12-12 4945
4195 사랑 87, 역사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6-03-31 4948
4194 모든 존재는 운동한다 1 김동렬 2019-07-22 4948
4193 사랑의 정석 32회, 철학의 세 질문 1 김동렬 2016-01-14 4952
4192 천공의 전쟁지령 김동렬 2024-01-27 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