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예전 영화코너에서 에일리언을 이야기하셨는데요.
가족으로 인한 고통과 그 복원을 위한 고통감수라고 잘 표현해주셨더군요 ^^

저도 소위 적령기가 다가오다 보니,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항복하듯이 결혼해서는, 혹, 정말 사랑했다고 해도
한사람과의 결혼제도라는 것 자체가 인간의 개개인의 자유에 부합되는것인지
의문입니다.

동렬님 자신도, 일종의 생계연합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시는것 같은데요.
늘 말씀하신 한국의 지독한 가족주의와도 배치가 되는 일이라, 선뜻 나서기가 힘드는군요.
동렬님의 개인적인 의견이 어떤지 듣고 싶습니다.
그럼 건필하십쇼.

파이팅~

김동렬

2006.01.17 (16:10:19)

제게 있어서는 삶의 비밀을 풀어보는 하나의 방식일 수 있지요. 결혼이라는 것이 '완전한 사랑'에 방해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성격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삶의 어떤 극점을 밟아보는 방법으로 인간에게 허용된 삶의 바운더리의 크기를 확인해 보고 싶다면 모험도 해볼만한 거지요.

제 생각엔 이후로도 결혼제도는 유지되겠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상당히 변할 것이며 대략 6 대 4 비율로 결혼하거나 결혼하지 않거나를 택할 걸로 봅니다. 6은 결혼, 2는 결혼에 가까운 동거형태, 2는 독신으로 다양화 되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59
2010 여기자는 왜 그랬을까? dksnow 2022-08-28 4484
2009 자이로의 원리 image chow 2022-08-27 3982
2008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2-08-25 3905
2007 15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dksnow 2022-08-23 4202
2006 전기산업의 독특한 특성 2 mowl 2022-08-22 4119
2005 애덤 스미스와 존 내시의 게임이론 1 chow 2022-08-20 4246
2004 천국은 이 지상에 없다 (소극적 결론) dksnow 2022-08-18 4039
2003 맥락없는 인공지능 image chow 2022-08-15 4169
2002 2500년, 미분의 역사 chow 2022-08-15 4070
2001 0으로 나눌 수 없는 이유 image chow 2022-08-12 4373
200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5 오리 2022-08-11 4151
1999 나눗셈과 미분의 관계 image 2 chow 2022-08-09 4787
1998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4890
1997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200
1996 언어 바람21 2022-07-31 4443
1995 Sheer 바람21 2022-07-31 4319
1994 나에게 보이지 않는 것이 있다 10 chow 2022-07-29 4856
199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7-28 4352
1992 SK의 멸망 테크 chow 2022-07-28 4243
1991 시대전환: 개발에서 관리의 시대로 (미시적 관점) image dksnow 2022-07-22 4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