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예전 영화코너에서 에일리언을 이야기하셨는데요.
가족으로 인한 고통과 그 복원을 위한 고통감수라고 잘 표현해주셨더군요 ^^

저도 소위 적령기가 다가오다 보니,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항복하듯이 결혼해서는, 혹, 정말 사랑했다고 해도
한사람과의 결혼제도라는 것 자체가 인간의 개개인의 자유에 부합되는것인지
의문입니다.

동렬님 자신도, 일종의 생계연합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시는것 같은데요.
늘 말씀하신 한국의 지독한 가족주의와도 배치가 되는 일이라, 선뜻 나서기가 힘드는군요.
동렬님의 개인적인 의견이 어떤지 듣고 싶습니다.
그럼 건필하십쇼.

파이팅~

김동렬

2006.01.17 (16:10:19)

제게 있어서는 삶의 비밀을 풀어보는 하나의 방식일 수 있지요. 결혼이라는 것이 '완전한 사랑'에 방해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성격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삶의 어떤 극점을 밟아보는 방법으로 인간에게 허용된 삶의 바운더리의 크기를 확인해 보고 싶다면 모험도 해볼만한 거지요.

제 생각엔 이후로도 결혼제도는 유지되겠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상당히 변할 것이며 대략 6 대 4 비율로 결혼하거나 결혼하지 않거나를 택할 걸로 봅니다. 6은 결혼, 2는 결혼에 가까운 동거형태, 2는 독신으로 다양화 되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10307
206 럭셔리 골드미스 청담녀 image 12 양을 쫓는 모험 2010-03-17 10581
205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12143
204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5983
203 나랏말이.. 1 아제 2010-03-06 6667
202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8064
201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7710
200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10072
199 완전함에 의해서. LPET 2010-02-22 8152
198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9696
197 연역과 귀납 5 아제 2010-02-20 9614
196 개인용 컴을 만든다면, 이 정도가 기본. 4 ░담 2010-02-19 21371
195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8098
194 막걸리는 한 병이다. 3 아제 2010-02-16 8425
193 특별한 날. 아제 2010-02-14 6988
192 뒤를 돌아보라. 1 아제 2010-02-12 7118
191 구조의 피라미드. 2 아제 2010-02-10 7671
190 야만. 2 오세 2010-02-10 6768
189 채찍과 당근 5 오세 2010-02-08 8465
188 전모를 보라. 6 아제 2010-02-08 7950
187 구조론 시 아제 2010-02-08 7926